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메타버스가 온다

[특별기획-메타버스] ⑤이승희 더샌드박스 한국사업총괄이사 "가상 부동산 중개업자 등 메타버스 내 다양한 직업군 등장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까운 미래, 더 많은 사용자 메타버스에서 경제활동할 것"

NFT로 메타버스 훨씬 풍요로워져···사용자 생태계 참여 원동력

“NFT 포함돼 있다고 사행성 게임 아냐···개념 구별해야”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가상 부동산 중개업자가 등장할 수 있습니다. 랜드 내 공간을 설계하는 도면 제작자, 도면을 기반으로 공간을 만드는 디자이너 등 다양한 직업군이 생겨날 겁니다.”

이승희(사진) 더샌드박스 한국사업총괄이사는 디센터와의 인터뷰에서 메타버스의 미래를 이같이 내다봤다. 더샌드박스는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NFT로 발행된 가상공간 ‘랜드(LAND)’를 매입하면 사용자는 그 위에 본인이 원하는 아이템 및 게임을 제작해 올릴 수 있다. 랜드 위에 자기만의 또 다른 세상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샌드박스는 사용자가 코딩을 몰라도 이러한 활동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까운 미래, 더 많은 사용자 메타버스에서 경제활동할 것"
이 이사는 “관련 툴(Tool)이 업그레이드되면 진입 장벽이 낮아져 보다 많은 사용자가 메타버스에서 경제 활동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전에 없던 직업군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를 들면 랜드 주인이 있고, 이 랜드를 활용하고 싶어하는 게임 창작자가 있다. 이때 랜드의 입지 조건, 가격 등을 따져 랜드 주인과 게임 창작자를 연결해주는 부동산업자가 등장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NFT로 메타버스 훨씬 풍요로워져”···사용자 생태계 참여 원동력

메타버스에서 NFT가 필요한 이유를 묻자 이 이사는 “사실 블록체인이나 NFT가 없어도 메타버스는 충분히 돌아간다”는 예상 밖의 답변을 내놨다. 그는 “온라인 디지털 세계는 모두 메타버스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유튜브서부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 지도 맵까지 현실세계와 연결된 온라인 공간은 모두 메타버스라는 게 이 이사의 생각이다. 이들 서비스는 블록체인을 적용하지 않아도 전세계 수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메타버스와 함께 NFT가 주요 기술로 부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이사는 “NFT가 있으면 메타버스가 훨씬 풍요로워진다”고 답했다. 그는 “NFT로 만들어진 자산은 블록체인 위에 올라가 누구도 수정을 못한다”며 “사용자가 NFT로 발행된 자산을 완전히 소유하게 되면서 메타버스에서 발생하는 생산, 구매, 교환, 거래 등 활동이 자유롭게 이뤄지게 된다”고 말했다. 중앙화 된 플랫폼과 다르게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플랫폼에선 사용자가 만든 자산에 스스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같은 점이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생태계에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설명이다. 이 이사는 “블록체인이 없는 메타버스라 해서 서비스 질이 낮은 건 아니지만 사용자 측면에선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가 더 가치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NFT 포함돼 있다고 사행성 게임 아냐···개념 구별해야”

전세계에 NFT와 메타버스 열풍이 불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선 NFT를 게임에 적용하는 방안을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에 대해 이 이사는 “NFT, 플레이투언(P2E, Play-To-Earn), 사행성 게임을 구분 지어 봐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P2E는 게임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하고, NFT는 이와는 다른 영역”이라며 “NFT가 아니어도 P2E모델을 구축할 수 있고, P2E모델이어도 사행성이 아닌 게임이 상당히 많다”고 설명했다. 즉 각각의 개념을 별개의 사안으로 두고 고민해야 하는데, 이를 뭉뚱그려 규제하는 점이 잘못됐다는 지적이다. 이 이사는 “NFT이기 때문에 안된다는 시각은 메타버스로 넘어가는 이 중요한 시점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며 “사행성을 규제하되 다른 부분에선 글로벌 수준에 맞게 규제 수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도예리 기자 yeri.do@ yeri.do@decenter.kr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