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김종대, 尹 집무실 이전 공약에 "어차피 이루지 못할 얘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 측 "청와대 들어갈 가능성 제로…용산 포함 후보지 검토 중"

김종대 "대통령 경호·안전만이 청와대 존재해야 할 이유 아니다"

아시아경제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허미담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16일 군사전문가인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은 이를 '헛소리'라고 규정하며 비판을 쏟아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대통령이 용산 국방부로 들어간다는 헛소리. 청와대는 어떤 곳인가. 대통령의 경호와 안전만이 청와대가 존재해야 할 이유의 전부는 아니다"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청와대는 대통령이 뛰어서 5분 거리 안에 국가의 자연재해나 안보 위기, 사회 혼란을 관리할 수 있는 위기관리센터가 있다. 지하 벙커에 수백억의 예산을 들여 오랜 시간에 걸쳐 구축한 시스템"이라며 "또 청와대는 유사시 국가의 통신과 물류가 마비되는 사태에도 대통령의 통신이 작동하게 하는 통신단도 있다"고 했다.

이어 "경호처는 단순히 대통령 경호업무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군과 경찰과 협조 관계를 구축하여 유사시를 대비하는 조직이다. 청와대는 단순히 대통령이 집무하는 공간이 아니라 국가 안전의 최후의 보루"라며 "김대중·노무현 대통령도 청와대에 들어가고 싶어서 간 것이 아니라 국가 안전의 요구 때문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오후 점심 식사를 위해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집무실에서 식당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김 전 의원은 윤 당선인이 국방부 청사 이전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에 대해 "황당하다"며 "이 말대로라면 당장 대통령이 국가의 위기를 관리할 수단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의 그 값비싼 시설과 기능이 무용지물이 된다. 국방부 인근의 합참에 군사 지휘통제본부, 즉 벙커가 있기 때문에 더 위기를 잘 관리할 수 있다는 설명도 있던데, 뭘 모르고 하는 소리"라며 "합참 벙커는 지금 군 지휘부를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국가 주요 요인과 참모를 데리고 들어가기에는 비좁다. 비상시에 군인들 다 내쫓을 건가.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서서 할 건가. 그렇게 벙커가 필요하다면 용산의 국방부로 들어갈 일이 아니라 수도방위사령부로 가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국방부는 또 어디로 가라는 거냐. 과천 정부 청사? 참으로 어이없는 주장"이라며 "국방부가 들어서면 청사의 경비가 강화되고 방호를 위한 시설 공사를 다시 해야 한다. 수천억원의 예산이 낭비된다. 또한 주변에 대한 각종 규제로 과천 시민들이 결사반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대통령이 집무실을 옮기는 건 국가 대사다. 그 중차대한 일을 '안 들어간다'는 말 한마디로 내질렀다. 두 달 후에 출범할 정권이 집 못 구해서 뛰어다니는 전세 난민 신세가 됐다"며 "이렇게 국가가 불안해서야 되겠는가. 차기 대통령이 이런 식으로 웃음거리가 되는 걸 누가 원한단 말인가"라고 비판했다.

끝으로 김 전 의원은 "당선자 주변에 직언을 하는 사람이 없는가 보다. 그러니 대변인이 거의 정신 나간 소리를 한다"며 "아마추어도 이런 아마추어가 없다. 어차피 이루어지지 못할 얘기다. 실컷 검토해보시라"라고 말하며 글을 마무리했다.

앞서 윤 당선인 측은 이날 오전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청와대로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라고 밝혔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일일 브리핑을 통해 "용산을 포함해서 지금 여러 후보지를 놓고 저희가 검토 작업을 진행 중에 있다"며 "윤 당선인이 정치 개혁을 선언하면서 지금의 청와대 밖으로 나오는 것은 국민 속으로 들어가고 소통이 중요하다는 오랜 의지 때문"이라고 했다.

현재 윤 당선인 측은 대통령 집무실을 기존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광화문의 정부서울청사와 외교부 청사 등도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