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7 (일)

尹, 집무실 이전 공식화…청와대, 73년 역사 뒤안길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이승만 대통령 '경무대' 명칭…윤보선 대통령 때 '청와대' 개명
박정희 대통령 시절 1·21 김신조 사태…10·26 사태 비극도
뉴시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기자회견을 통해 새로운 대통령 집무실로 용산 국방부 청사를 지목했다. 윤 당선인은 기존 청와대는 5월 10일 새 정부 출범에 맞서 공원으로 개방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의 모습. 2022.03.20. jhope@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해 기존 청와대 비서실의 기능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의 완전한 이전 방침을 공식화했다.

최종 실현 여부와는 무관하게 굴곡진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한복판을 지켜왔던 청와대의 70년 역사도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푸른 기와 지붕'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청와대(靑瓦臺)는 조선 태조가 지금의 청와대 자리를 경복궁의 후원으로 사용하던 것에서 그 뿌리를 찾고 있다.

이후 연무장, 과거시험장 등이 들어서며 '경무대(景武臺)'라는 별칭이 붙었지만 1592년 임진왜란 때 경복궁과 함께 폐허가 됐고, 고종 때 상당수 복원됐다.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총독부 관저로 사용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주한미군사령관 하지(John R. Hodge) 중장이 총독 관저를 사용했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께 이승만 전 대통령이 기존 이화장(梨花莊)에서 대통령 관저를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경무대(景武臺)'라는 이름을 붙였다.

4·19 혁명으로 정권을 물려받은 윤보선 2대 대통령은 전임자의 독재 이미지를 지우는 일환으로 개명을 추진하면서 1961년 1월1일부로 현재 '청와대'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박정희·최규하·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해 현재 문재인 대통령까지 10명의 대통령이 현재 청와대를 지키면서 명실상부 '권력의 심장'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청와대는 73년이라는 근현대사 과정 속에 굴곡진 역사도 함께 간직하고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집권 시기이던 1968년 1월21일 김신조를 비롯한 북한 무장대원 31명이 청와대 뒷산 루트를 활용해 박 전 대통령의 암살을 시도했던 '1·21 사태' 때가 대표적이다. 당시 김신조 생포 과정에서 주고받은 총탄의 흔적은 현재 북악산 일대 소나무에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1·21 사태를 계기로 매년 4~5월 박 전 대통령이 주재해오던 청와대 경내 개방 행사는 중단됐다. 청와대 뒤편 북악산 길을 비롯해 청와대 인근 지역도 전면 통제의 길로 들어섰다.

청와대 경내에서 벌어진 일은 아니지만 1979년 10월26일 박 전 대통령이 청와대 인근 궁정동(현재 효자동 일대) 안가에서 당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총탄에 숨지는 비극적 사건도 회자된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문민정부 시절 궁정동 안가는 헐리고, 그 자리에 무궁화동산이 조성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kyustar@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