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지구에 ‘봄’을 뿌리다…우주에서 본 춘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지난 20일 유럽기상위성센터(EUMETSAT)위성이 촬영한 지구의 춘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1일은 ‘봄을 나눈다’는 뜻의 ‘춘분’(春分)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춘분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져 음양이 균형을 이루는 날로 생각했으며, 이때를 즈음해 본격적인 농사 준비에 들어갔다. 춘분은 과학으로도 확인되는데 태양의 중심이 적도에 오는 날을 말한다. 태양이 적도에 이르러 지구의 낮과 밤은 공평하게 양분된다.

지난 21일(이하 현지시간) 유럽기상위성센터(EUMETSAT)가 흥미로운 지구의 춘분을 위성사진으로 담아 공개했다. 아름다운 지구를 반으로 가르듯 한쪽은 환한 빛에 다른 한쪽은 어둠에 잠긴 이 사진은 지난 20일 위성이 촬영한 것이다. EUMETSAT 측은 이날 중앙유럽 표준시(CET·협정 세계시보다 1시간 빠르다)로 16시 32분 춘분이 일어났다며 이는 지구 북반구 봄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춘분과 추분의 일러스트 이미지. 사진=NASA/GSFC/Genna Duberstein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춘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지구 북반구는 태양의 고도가 높아지면서 낮이 길어지며 하지(夏至)에 이르러 절정에 달한다. 반대로 남반구는 계절이 반대가 되어 이날이 추분으로 가을에 들어간다.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우리나라에서는 입춘(立春)을 ‘봄의 시작’이라 보지만 서양에서는 춘분을 그 시작으로 본다는 점이다. 특히 멕시코의 경우에는 춘분을 새해의 시작으로 여겨 유적지에 올라 팔을 벌리고 태양 에너지를 가득 받는다. 곧 춘분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이자 문화이며 과학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