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文-尹 회동, 감사원 인사에 집무실 문제까지 '산넘어 산'

댓글 5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감사위원 2석 추천방식 '평행선'…끝까지 이견 못좁히며 회동 논의 공전

집무실 이전에 靑 공개제동…尹측 반발하며 협의 더 '험로'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이슬기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의 첫 회동이 표류하는 가운데, 감사원 감사위원 인선을 둘러싼 대립이 협상 공전의 핵심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여기에 집무실 이전 문제를 두고 양측의 정면충돌 양상이 빚어지며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 전망은 한층 어두워진 형국이다.

이날 복수의 정치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청와대 이철희 정무수석과 윤 당선인 측 장제원 비서실장의 실무협의 과정에서는 감사원 인사 문제가 가장 큰 쟁점 중 하나로 거론됐다고 한다.

그동안 한국은행 총재, 감사원 감사위원 2자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 등 4곳 주요 직책의 인사권 문제에 대해 견해차가 큰다는 점이 꾸준히 거론돼 왔다.

윤 당선인 측에서는 해당 자리들에 대한 인사를 청와대가 결정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현재 청와대가 지명하는 사람들로 감사원이 채워질 경우 다음 정부에서의 감사 업무나 선관위 업무 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다.

그러나 청와대는 법률상 인사권이 문 대통령에게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사실상 인사에서 손을 떼라는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결국 인사권을 문 대통령이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은행 총재의 경우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ㆍ태평양담당 국장 내정설이 나오는 등 다른 자리들은 조금씩 거리가 좁혀지는 듯한 모습을 보였으나 감사위원 2석에 대해서는 끝까지 평행선을 이어갔다고 한다.

물론 협상 도중에는 두 명 가운데 한 명을 청와대가, 다른 한 명을 윤 당선인 측이 추천하는 등의 방안도 거론되고, 상대가 '비토'를 하는 카드에 대해서는 강행하지 않기로 하는 방안 등도 언급됐다고 한다.

그러나 이같은 '절충안' 역시 끝내 최종 합의로 이어지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윤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문제를 두고 청와대가 사실상 제동을 걸자, 양측의 회동 협의가 더욱 꼬이게 된 모습이다.

윤 당선인 측에서는 청와대가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승인을 공개적으로 거부하는 상황에서 더는 논의 진전이 어렵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청와대가 명확한 답을 주지 않고 무조건 만나자고 하는데, 아무런 성과 없이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만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청와대는 애초 인사 문제에서 윤 당선인 측이 감사위원을 비롯한 4자리에 대해 '인사동결'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한 주장이라며, 조건 없이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만나야 한다고 맞서는 모습이다.

집무실 이전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 발표는 안보위협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이 역시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이 일단 만나 얘기하면 되는 것 아니냐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다.

이처럼 양측이 첨예한 대립을 이어가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서로에 대한 신뢰 문제 등이 불거지며 협상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청와대 측에서는 '인사동결' 문제로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이 가로막히는 상황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윤 당선인을 포함한 국민의힘 내부에서 이 문제가 제대로 논의되고 있는 것인지, 혹은 회동에 대한 의지가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다는 불만이 새어 나오고 있다.

반대로 윤 당선인 측 역시 문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만나자"고 제안을 했음에도 청와대가 인사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보인다는 점이나, 공개적으로 집무실 이전 문제에 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회동을 하겠다는 진정성이 있는 것인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hysup@yna.co.kr

wis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