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초·중·고 등교 전 자가검사 주1회로 줄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월 셋째 주부터는 초·중·고 등교 전 신속항원검사(선제검사)를 주 1회만 해도 된다. 단,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학교 기숙사는 지금처럼 ‘주 2회 선제검사 권고’를 유지한다.

교육부는 29일 ‘오미크론 대응 4월 학교 방역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학기 초인 지난 2일부터 20일까지 학생 선제검사 결과 양성예측도는 93%가 넘었다. 양성예측도는 자가진단키트 결과 양성으로 나온 인원 중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통해 확진된 비율이다. 자가진단앱 등에 따르면 학기 초 선제검사를 실시한 학생은 441만9971명이었으며, 이 중 48만9329명(11.07%)이 양성이었다. 이후 선제검사 양성 학생들이 PCR을 실시한 결과 45만8723명(93.75%)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학교급별로는 유치원, 초등학교 등 어린 학생일수록 양성예측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생은 94.16%, 초등학생은 95.66%로 중학생(93.40%), 고등학생(89.31%)보다 높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직원까지 합하면 약 49만 명의 확진자를 선제검사로 조기에 발견·격리해 학교 확산을 막을 수 있었다”며 “4월에도 검사도구 물량을 차질 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 이동형 유전자증폭(PCR) 검사소도 계속 운영할 계획이다. 24일 기준 이 검사소를 통해 10만3894명이 검사를 받았으며, 이 중 13.3%인 1만3834명이 확진돼 등교중지 조치됐다.

오미크론 감염 확산으로 교직원 대체인력 수급에도 비상이 걸린 만큼 교육부는 학교 현장 인력 지원을 보강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학교 방역 지원을 희망하는 간호·보건계열 대학생 259명을 선발했으며, 148개 유·초·중·고교에 1차로 연결해 학교 방역을 지원할 예정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언제까지 교사들의 희생으로 근근이 버티기만 할 거냐”는 비판이 나온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측은 “학생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안내·독려가 ‘강제’로 비춰져 학부모 민원, 고발 협박까지 감수하고 있다”며 “그 와중에 교사 확진자가 증가해 수업 대체인력을 구하느라 애 먹어야 하고 한 쪽에선 동료교사 확진에 하루 종일 결·보강을 하거나 확진 교사들도 원격수업에 나서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교총 관계자는 “신종 감염병은 또 나올 수 있다”며 “임기응변식으로 대처할 게 아니라 학급당 학생 수 감축, 교사를 방역 업무에서 분리시키는 교육 체계 구축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연 기자 lee.hoo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