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靑, 집무실 이전 예비비 일부 의결할 듯..尹 단계적 이전 가시화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靑-尹당선인 측 실무협의 진행
496억 예비비 중 일부만 의결 가능성
100억 이상 ~300억 미만 전망
尹 취임 직후, 용산 시대는 어려워


파이낸셜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3월28일 오후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찬 회동에 앞서 대화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용산으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일부가 이르면 다음주 국무회의에서 의결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윤 당선인 측이 제시한 496억원 예산 전체가 처리되긴 어렵지만, 이 가운데 300억원을 밑도는 예산이 의결돼 일부 이전 비용 지원에 따른 단계적 집무실 이전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일 인수위에 따르면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실무협상을 통해 내주 국무회의서 예비비 일부를 의결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안보 공백을 우려한 청와대의 지적에 윤 당선인 측이 강조한 이전 비용에서 많은 부분이 깎이지만, 일단 취임 이후 집무실 이전 기간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게 됐다는 지적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쉽게 예단할 수 없지만 실무 협의 과정에서 일부 예비비라도 다음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는 것을 논의하는 것으로 들었다"면서 "일부가 의결돼도 당선인 취임 직후 용산으로 집무실을 이전하는 것은 어렵다. 일부 예비비가 의결된다고 집무실 이전 기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 측은 당초 국방부의 합동참모본부 건물 이전 118억원, 국방부 청사 리모델링 252억원, 경호처 이사 비용 100억원, 한남동 공관 리모델링 25억원 등 약 496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합참 이전 비용 110억원 이상을 제외하는 등 뒤 1차 예비비 규모를 100억원 이상 300억원 미만으로 책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 이전은 제외시켜 오는 18일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시킨다는 명분이다.

그나마 이같은 일부 예비비 의결도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간 회동에서 물꼬를 트면서 마련된 것이나, 협상 과정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문 대통령 임기말 인사권 행사를 놓고 청와대와 윤 당선인 측이 팽팽한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고,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으로 심도깊은 검토가 진행되고 있어서다.

처리 시기도 빠르면 오는 5일이지만, 이마저도 늦춰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장제원 실장은 전날 기자들에게 "저와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이 만나, 예비비 300억원대 국무회의 상정 합의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히면서, 결국 1차로 의결될 예비비 규모는 300억원에 미치지 못한 것이란 전망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