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대통령 집무실 이전 두고 신경전 계속…與 "尹, 文과 상의했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호중 "용산, 각종 규제로 주민 재산 피해 뻔해…사과해야"

배재정 "집무실 이전이 그렇게 급박한 일인가"

뉴스1

4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국방부 청사의 모습. 2022.4.4/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철 기자 = 정부가 예비비 360억원을 들여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이전을 둘러싼 신경전은 계속되고 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오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윤 당선인과 인수위는 국방부와 합참 주변 용산 일대가 이미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제한을 받고 있기 때문에 추가 규제는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며 "그러나 국방부 인근엔 개발규제가 애초에 없었다는 사실이 언론보도를 통해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용산은 고도제한과 각종 규제로 주민의 재산상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며 "국방부 인근 한강로 및 삼각멘션 특별계획구역 사업이 모두 좌초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말 한심한 일은 인터넷으로 토지이용계획을 검색만 해도 용산은 개발규제구역이 아니란 것을 알 수 있다는 점"이라며 "기초 사실관계 확인도 없이 졸속계획을 발표한 이유가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인수위는 즉각 이에 대해 해명하고 피해 당사자인 용산주민에게 사과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임시 국무회의를 개최해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위한 예비비 360억원을 의결했다. 다만 이 금액은 윤 당선인 인수위가 제시한 496억원보다 136억원 적은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배재정 비상대책위원은 "아직까지도 무슨 이유인지는 모르겠으나 단 하루도 청와대에서 잘 수 없다면 처음부터 이렇게 현직 문재인 대통령께 상의했어야 한다"며 "그랬다면 지난 몇 주 동안 소모적인 논쟁은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예비비 금액이 애초 (윤 당선인 측의) 요구보다 적어서 앞으로 충돌할 뇌관이 더 있다는 보도도 나온다"며 "그러나 뇌관은 신·구 권력 갈등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무리한 용산 이전 추진 그 자체가 뇌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반대하지 않는다"며 "그러나 정말 묻고 싶다. 집무실 이전이 그렇게 급박한 일인가"라고 꼬집었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도 청와대 건물 뒤편의 '북악산 남측면'을 일반 시민에게 개방하기로 한 것을 두고 전날(5일) 페이스북에서 "숲길 하나 개방하는 데도 많은 논의와 노력이 필요했다"고 했다.

이는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추진하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우회 비판하는 말로 풀이된다.
iro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