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멘트업계도 '비상'…대체 공급처 확보 경쟁 치열
러시아 하바롭스크 석탄 터미널 |
(서울=연합뉴스) 김계환 기자 = 한국전력[015760]의 자회사를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의 석탄 수입업체들이 유럽연합(EU)의 제재에 앞서 러시아산 석탄 수입 중단과 대체 공급처 확보에 나서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한전 자회사 최소한 한 곳은 지난 2월부터 러시아산 석탄 주문을 중단하고 공급처를 다른 지역으로 다변화하고 있다고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이 로이터에 밝혔다.
이 자회사의 한 소식통은 자사의 석탄 수입량에서 러시아산의 비중이 작년 10% 정도로 많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내 다른 발전업체들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전했으나, 대체 공급처가 어디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래픽] 한국 석탄 수입국가별 비중 |
에너지 외 산업 분야에서는 한국 시멘트 업체들이 시멘트 소성용으로 쓰는 역청탄의 4분의 3 정도를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었기 때문에 특히 이번 사태에 취약한 상태라고 시멘트 업계 소식통들은 전했다.
이들은 시멘트 업계가 확보한 석탄이 불과 5월까지 버틸 분량뿐이라면서 업계가 대체 수입원 찾기에 나선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또 석탄 가격 상승으로 시멘트를 생산하면 할수록 손해가 커진 상황이지만, 지금은 러시아산 석탄을 수입하지 못해 시멘트 생산이 완전히 중단되는 것이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우려했다.
세계 3위 석탄 수입국인 일본의 규슈전력은 지난달 말 이미 러시아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
러시아 베라항 석탄터미널 모습 |
이 회사 대변인은 제재로 인한 공급 차질 위험을 고려해 러시아산 석탄 수입을 중단했다고 확인하면서 올해는 러시아산 석탄을 수입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산 석탄을 대체할 공급처를 다른 지역에서 찾고 있다고 말했으나, 접촉하고 있는 대상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로이터는 한국과 일본의 수입량이 러시아 전체 석탄 수출량의 5분의 1 정도로 중국 다음으로 많았다면서 EU의 러시아산 석탄 제재까지 추가되면 석탄 확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석탄 생산국가인 호주와 인도네시아는 이미 아시아·유럽 국가들의 쇄도하는 수입 요청에 최대치로 생산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아직 석탄 증산이 가능하지만, 운송망 등의 문제로 인해 수출량을 단기간에 늘릴 수는 없는 상황이다.
CBA 애널리스트인 비베크 달은 EU의 제재로 인해 한국과 일본, EU가 러시아산 석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밖에 없겠지만 대체 수입처를 찾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앞서 EU는 이날 러시아 석탄 수입 금지, 러시아 선박의 역내 항구 진입 금지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러시아 에너지를 겨냥한 EU의 첫 제재인 이번 석탄 금수 조치는 회원국들의 대체 공급처 확보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해 8월 초부터 발효될 예정이라고 AFP통신은 전했다.
EU 회원국은 석탄의 약 45%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이는 연간 40억유로(약 5조3천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kp@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