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흔들리는 수입 곡물 시장

"밀접 접촉했는데도 자가격리 중"…상하이 접촉자 시설격리 한계 넘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감염자의 밀접 접촉자를 정부가 지정한 시설에 격리하는 중국 상하이에서 밀접 접촉자인데도 자가격리 중이라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습니다.

강력한 봉쇄 정책에도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격리 시설의 수용 규모를 이미 넘어선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옵니다.

상하이 방역당국은 어제(15일) 누적 밀접 접촉자가 31만7천115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8일 18만4천738명에서 일주일 만에 75%나 급증했습니다.

방역 당국은 밀접 접촉자를 집중 격리시설에 1인 1실로 격리해 PCR검사와 체온 측정 등 의학적 관찰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밀접 접촉자로 확인되면 바로 당일 격리하는 수용 체계도 갖췄다고 발표했습니다.

밀접 접촉자는 집중 격리시설에서 14일간 수용돼 음성으로 판명되면 7일간의 자가격리를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방역당국의 설명과 달리 중국의 소셜미디어 웨이보에는 밀접 접촉자로 분류됐으나 자가격리 중이라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 중국 누리꾼은 "감염 판정을 받은 동료의 밀접 접촉자로 분류돼 14일 격리하라는 통보를 받아 8일째 회사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이 누리꾼은 회사에서 식사한 뒤 사무실 바닥에 이불을 깔고 자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게시하기도 했습니다.

밀접 접촉자라면 방역 지침에 따라 먼저 14일간은 격리시설에서 생활해야 함에도 그렇지 못한 사례들이 잇따라 나타나면서 격리 시설의 수용 능력이 이미 한계를 넘어선 것 아니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겁니다.

실제로, 대만 중앙통신사는 연일 2만명대 신규 감염자가 발생해 지난달 1일 이후 누적 감염자가 30만명을 넘어선 상황에서 급증한 밀접 접촉자까지 격리·관리하는데 한계에 직면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상하이 시민들 사이에서 일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 매체는 이미 상하이 밀접 접촉자와 2차 접촉자 1만2천여명이 인근 장쑤성과 저장성으로 이송됐다고 전했습니다.

무증상 감염자와 밀접 접촉자를 열악한 격리시설 대신 자택에서 격리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의견도 제기됐지만 '제로 코로나'를 고집하는 중국 방역당국은 시설 격리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상하이 국가회의전람센터를 4만 명의 감염자를 수용하는 초대형 격리시설로 바꿨고 호텔은 물론 국가회의전람센터 등 62개 시설을 임시 병원과 집중격리시설로 전환해 운영 중입니다.

지난 11일 상하이 푸둥신구 장장 가오신 개발구 11개 동이 감염자 격리시설로 지정돼 퇴거 명령이 내려지자 반발한 아파트 주민 1천800여명이 격렬하게 항의 시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안상우 기자(asw@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