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중국판 우주정거장’ 만들던 中 우주비행사 6개월 만에 무사 귀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 건설을 위해 우주에 머물렀던 우주비행사 3인을 실은 유인 우주선 선저우 13호가 6개월간의 우주 체류를 마치고 무사 귀환했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 등 다수의 매체는 16일 오전 10시 경 선저우 13호가 중국 네이멍구 고비사막에 위치한 둥펑 착륙장에 무사 귀환했으며 이날 귀환한 세 명의 우주 비행사의 건강 상태는 모두 양호하다고 보도했다.

이들의 무사 귀환은 중국의 우주개발 역사상 최장 기록인 183일 간 우주 임무 수행 사례로 기록됐다. 이전까지의 최장 우주 비행 기록은 92일로, 지난해 발사된 유인 우주선 선저우 12호에 탑승했던 우주인의 사례였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이즈강, 왕야핑, 예광푸 등 3인을 태운 선저우 13호는 지난해 10월 16일 중국 서북부 간쑤성의 주취안 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2F 야오-13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이후 톈궁 우주정거장의 핵심 모듈인 톈허와 도킹에 성공했고, 톈궁 조립과 건설에 대한 핵심적 기술 테스트, 톈궁 건설에 필요한 각종 장치 설치, 과학 실험 등을 수행했다.

보도에 따르면, 장기간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하면서 약화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3인의 우주인들은 지구로 귀환하기 이전부터 우주선 내부에서 각종 훈련과 우주 실험장비를 챙기는 등 귀환 준비를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중국이 구축 중인 텐궁 우주정거장은 길이 37m, 무게 90t으로, 현존하는 미국과 러시아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규모와 비교해 약 3분의 1에 달한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의 우주 과학 사업의 시작은 지난 2011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ISS에 대한 중국의 관여 금지 조치를 강화하면서 본격화됐다고 보도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중국은 오는 2029년을 목표로 유인 달 탐사선을 발사, 달에 유인 우주선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한편, 중국은 우주비행사 3명이 귀환 소식을 알리면서, 오는 5월 선저우 14호를 이용해 또 다른 우주비행사들을 우주로 보내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