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中, 내년 우주망원경 발사…"허블보다 넓게 관측"(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허블급 우주망원경 쉰톈 상상도
[Jaimito130805 제공. CC BY-SA 4.0]


(베이징=연합뉴스) 한종구 특파원 =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 건설에 속도를 내는 중국이 연말까지 우주정거장 건설을 마치고 내년에는 대형 우주망원경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18일 중국 관영통신 신화사에 따르면 중국 유인우주선 공정판공실(CMSEO)은 내년 '쉰톈'으로 불리는 대형 우주망원경을 발사해 우주 관측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CMSEO는 쉰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중국 과학매체에 보도된 내용 등을 종합하면 이 우주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처럼 자외선과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에서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

직경 2m 정도로 허블망원경보다 작고 해상도도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중국 매체들은 허블과 쉰톈의 관측 목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허블이 좁은 시야로 우주를 정밀하게 관측하는 방식이라면 쉰톈은 시야를 넓혀 우주를 넓게 관측하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우주를 코끼리에 비유한다면 허블은 코끼리의 근육과 머리카락을 세밀하게 보는 방식이지만 쉰톈은 코끼리의 전체 모습과 이목구비를 보는 방식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설명이다.

쉰톈은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 허블보다 300배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쉰톈이 우주정거장과 같은 궤도를 돌며 정기적으로 도킹해 연료 공급과 정비를 받는 방식으로 관리된다는 점도 허블과 다른 점이다.

과학잡지 '지식은 힘'은 "쉰톈의 유지·보수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경우 우주정거장에 머무는 우주비행사들이 작업할 수 있다"며 "이렇게 하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리 과정도 안전하고 간편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쉰톈이 배치되면 우주의 역사와 진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오춘 CMSEO 주임은 "우주망원경은 우주 구조의 형성과 진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외계 행성과 태양계 등에 대한 연구 등을 통해 새로운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우주정거장 건설이 끝나면 내년부터 매년 유인우주선 2척과 화물우주선 2척을 보내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 머물도록 할 계획이다.

이들은 우주에서 생활하면서 과학실험을 하고 우주정거장을 유지·보수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하오 주임은 "우주정거장 건설을 진행하는 동시에 유인 달 탐사와 관련한 핵심 기술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며 "멀지 않은 장래에 우주에 대한 중화민족의 꿈이 현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올해 유인우주선 2회, 화물우주선 2회, 실험선 2회 등 올해 모두 6차례의 우주선을 발사해 'T'자 형태의 우주정거장을 완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4월 우주정거장 건설을 위한 핵심 모듈 '텐허'를 쏘아 올린 이후 화물우주선과 유인 우주선을 잇달아 발사하며 우주정거장 건설에 본격 착수했다.

중국이 구축 중인 우주정거장은 길이 37m, 무게 90t으로 현재 미국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3분의 1 크기다.

jkh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