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靑 국민청원 5년간 110만8천건…"법개정·제도개선 동력" 자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만명 이상 동의 285건…靑 "국민청원, 임기 마지막 날까지 운영"

연합뉴스

靑 국민청원 5년간 110만8천건…"법개정·제도개선 동력" 자평 (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국민과 직접 소통하겠다는 취지로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초부터 운영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지난 2월까지 총 110만8천471 건의 청원이 올라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청원 게시일로부터 30일간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받아 정부 및 청와대 관계자가 답변한 청원은 총 284건으로 집계됐다.

청와대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문재인 정부 국민청원 5년 운영 결과'를 공개했다.

2017년 8월 19일에 시작된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올해 2월까지 총 5억1천600만명이 방문했다. 하루 방문자 수는 평균 31만1천800만명으로, 일일 평균 670건의 청원이 게시됐다.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받아 답변 요건을 채운 청원 중에는 범죄나 사고의 피해자들이 올린 청원이 127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정부 정책·제도와 관련한 청원(71건), 정치 관련 청원(46건), 방송·언론 관련 청원(16건) 등이 뒤를 이었다.

청와대는 "국민청원을 통한 국민의 목소리는 법 개정과 제도 개선의 동력이 됐다"고 자평했다.

연합뉴스

청원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캡처]


'텔레그램 N번방' 관련 청원은 범정부 합동 디지털 성범죄 근절 대책 수립과 성폭력 처벌법 개정 등으로 이어졌고, '소방공무원 국가직 전환 요구' 청원은 소방공무원법 등 법안 개정의 동력이 돼 소방공무원의 국가적 전환을 이끌었다고 했다.

청와대 국민청원은 문 대통령의 임기 초반 나름의 순기능을 하며 제도 개선의 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진영 대결의 장이나 일부 문 대통령 강성 지지층의 '한풀이'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청와대는 그러나 2020년 6월과 2021년 8월, 이달 세 차례에 걸쳐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범한 시민이 분노를 털어놓거나 억울함을 호소하는 순기능이 크다'고 답한 응답자가 56.8%였다고 소개했다.

국민이 정부에 목소리를 전달하는 소통 창구 역할을 원활히 해냈다는 것이다.

한편, 청와대는 "문재인 정부 국민청원은 5월 9일 임기 마지막 날까지 운영한다"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j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