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박주선 "신라호텔 초호화 취임만찬? 청와대 영빈관과 비용 차이 거의 없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3억' 역대 최고 취임식 비용엔 "10년 전 朴이 31억…그간 물가 올라"

아시아경제

박주선 대통령취임식 준비위원회 위원장이 지난달 23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브리핑실에서 위원회 인선과 업무추진 현황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윤슬기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비용이 역대 대통령 취임식 중 가장 큰 비용인 33억원가량이 투입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각에서 '초호화 혈세잔치'라는 비판이 일자 박주선 대통령취임준비위원장이 "10년 전에 박근혜 대통령 때는 31억이었다"며 물가 상승률을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2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책정된 예산의 범위 내에서 취임식을 거행하려고 한다"며 "그동안에 물가가 많이 오르고 특히 노임 단가가 오른데다가 또 여러 가지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서 여러 가지 접목을 한 행사를 하려고 하다 보니까 비용이 조금 상승이 된 것을 숨길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이미 2021년 정기국회에서 대통령 취임이 5월10일로 예정돼 있었기 때문에 여야 합의에 의해 물가상승률을 감안해 취임식 예산을 정했던 것"이라며 "국회를 통과할 당시는 5월10일 누가 대통령이 될지 알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국회에서 예산을 책정해놓고 이제 와서 호화 취임식이라고 하는 것은 정치 공세"라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또 취임식 외빈 만찬을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진행해 국민 혈세를 낭비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 "비용은 차이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청와대 영빈관에서 하더라도 호텔에서 음식을 가져와서 조리해야 된다. 호텔에서 하더라도 대관료 정도 비용만 좀 보태지는 것이지 초호화판 국빈 만찬, 외빈 만찬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취임 행사는 법에 정해진 국가 행사"라며 "외국 정상들이나 외빈들이 참석하는 만찬을 포장마차나 텐트촌으로 갈 수도 없는 거 아닌가"라고 했다.

한편, 대통령 취임준비위원회는 대선에 경쟁했던 유승민 전 의원이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등을 초청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박 위원장은 "전례가 없는 데다가 자칫 잘못하면 패배에 대한 아픈 상처를 상기시키거나 크게 할 우려가 있어서 예의가 아닐 수도 있겠다고 보고 이번에는 초청을 안 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