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수성도 혜성처럼 꼬리가 있다?…우주에 빛을 드리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혜성처럼 꼬리를 보이는 태양계 제1 행성인 수성. 사진=Sebastian Voltme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성이 혜성처럼 꼬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일찍이 1980년 대에 수성이 꼬리를 갖고 있을 거라고 예측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고, 2001년에는 처음으로 수성의 꼬리가 발견되었다. 이 수성의 꼬리가 한 천체 사진작가에 의해 선명하게 잡힌 이미지가 지난 3일자 ‘오늘의 천체사진’(APOD)에 게재되어 우주 마니아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푸르게 빛나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좀생이별) 아래 밝은 꼬리를 자랑하며 흐르는 천체는 혜성이 아니라 실제로 태양계의 첫째 행성인 수성이다. 태양에 가장 가까이 근접한 궤도를 도는 행성인 수성을 장시간 노출하면 예상치 못한 무언가가 드러나는데, 그것이 바로 우주공간으로 길게 드리우는 노랗고 밝은 꼬리이다.

수성의 얇은 대기에는 나트륨이 약간 포함되어 있는데, 햇빛은 수성 대기에서 이러한 분자를 해방시켜 우주공간으로 방출하게 만든다. 게다가 나트륨의 노란색 빛은 캄캄한 우주공간을 배경으로 비교적 밝게 보인다. 사진에서 수성의 꼬리는 나트륨에서 방출되는 노란색 빛을 주로 투과하는 필터를 통해 잡은 것으로, 지난주 스페인 라 팔마에서 천체사진 작가 세바스티안 볼트머가 촬영한 것이다.

수성의 꼬리에 대한 세부 사항은 2011년과 2015년 사이에 수성을 탐사한 미 항공우주국(NASA)의 수성탐사선 메신저(Messenger)호의 관찰에서 밝혀졌다. 물론 일반적으로 천체의 꼬리는 혜성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수성은 태양으로부터 평균 5800만㎞ 떨어진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이다. 반지름은 2440㎞, 둘레 4392㎞로 가장 작은 내행성으로, 공전주기는 88일, 자전주기는 58일이다.

이광식 과학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