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청와대 개방 임박…'기대반, 우려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달 26일 오후 서울 명동거리의 한 상점 벽면에 청와대 개방 홍보 안내판이 걸려 있다. [사진 = 연합뉴스]


'5월 10일' 청와대 개방이 임박한 가운데 관람 신청자가 100만명을 넘어설 만큼 기대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이와 달리, '관람권 웃돈 거래', '교통 혼잡 문제', '상권 활성화에 따른 임대료 상승' 등 우려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30일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청와대 관람 누적 신청자는 112만4372명으로 집계됐다. 청와대 개방 관람 신청서비스가 시작된 지 나흘 만에 100만명이 넘는 신청자가 몰린 것이다.

뜨거운 인기를 실감이라도 하는 듯 온라인 중고거래 장터에는 청와대 관람권을 핀매한다는 글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2~4인 관람권을 최대 10만원에 판매한다는 글도 올라왔다. 판매글은 대개 "자리가 비어서 같이 입장할 분을 구한다"거나 "지인과 가려고 했으나 못 가게 되어 양도한다"는 등 내용이다. 거래는 구매자가 입금하면 판매자가 바코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또는 판매자가 입장 당일 직접 구매자와 함께 입장하기도 한다.

청와대 개방에 대해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개방에 따른 '교통 혼잡 문제', 상권 활성화로 인한 '임대료 상승' 우려 등 때문이다.

청와대 개방으로 많은 인파와 함께 차량도 대거 몰릴 것으로 판단된다. 당장 개방 첫날(10일)엔 신청자 9만977명 중 2만6000여명이 당첨돼 청와대를 관람한다. 이에 따라 인근 일대에 교통 혼잡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청와대 인근 거주민과 소상공인도 교통 혼잡에 따른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인근으로 인파가 몰리면서 상권이 활성화될 것이란 긍정적인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상권 활성화에 따라 자연스레 임대료가 오르면서 원주민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선 윤석열정부의 청와대 개방을 두고 '졸속 개방'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매일경제

5일 정부서울청사 외벽에 청와대 개방을 알리는 현수막 설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 인수위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현재 추진 중인 청와대 전면 개방을 두고 "현재와 다를 바가 하나도 없다"고 지적했다. 탁 비서관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청와대 관람 시) 여전히 집무실이나 본관 등 건물에는 못 들어가게 한다더라"며 "지금도 모든 건물 앞까지는 개방되고 가이드와 함께 청와대 곳곳을 투어한다. 같은 방식인데 가이드만 없어지고 건물 안에 들어가지 못한다면 이걸 무슨 전면 개방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주장했다. 탁 비서관은 기존 청와대 관람 시스템을 이용해 5월 10일 이후 청와대 관람을 신청한 시민에 일방적으로 '예약 취소' 통보를 한 데 대해서는 "청와대 이전 문제가 졸속으로 처리된 대표적 방증"이라고 일갈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이전TF 부팀장인 김용현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6일 매경닷컴과의 통화에서 "저희 쪽에서 청와대 관람권을 되팔고 하는 것을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며 "아직 TF차원에서 논의된 사항은 없지만, 대책을 강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부팀장은 "(청와대에) 오시고자 하는 분들은 많으나 제한된 상황이 있어서 그런 일이 생기는 것 같다"며 "청와대 개방 초기다 보니, 관람 희망인원들도 많이 모이고 그러다 보니 그런 현상이 생기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시설 안전 관리 문제 때문에 인원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 관람 인원을 더 늘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부팀장은 교통혼잡 문제에 대해서 "가능한 한 차량을 가지고 오시는 것을 자제해 달라고 부탁드리고 있다"면서 "지하철에서 버스 정류장 셔틀버스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고 답했다.

[변덕호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