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밤하늘을 나는 해파리?…스페이스X 로켓의 구름 (영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플로리다 주와 조지아 주 일부 지역에서 로켓 발사 후 하늘에 ‘우주 해파리’ 현상이 목격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여명을 뚫고 힘차게 날아오른 후 밤하늘에는 아름다운 '작품'이 그려졌다. 지난 6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NBC뉴스 등 현지언론은 플로리다 주와 조지아 주 일부 지역에서 로켓 발사 후 하늘에 생긴 신기한 현상이 카메라에 담겼다고 보도했다.

자연과 인간이 밤하늘에 만들어 낸 이 작품은 현지에서는 '우주 해파리'(space jellyfish)라 부른다. 하늘에 구름처럼 형성된 신기한 형상이 마치 해파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 실제로 촬영된 사진을 보면 푸른빛의 둥근 형상이 하늘을 도화지 삼아 그려졌는데 과거 일부 시민들은 이늘 UFO로 오인하기도 했다.
서울신문

보도에 따르면 총 53기의 스타링크 위성을 실은 팰컨9 로켓은 이날 오전 5시 42분 플로리다 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힘차게 날아올랐다. 이후 하늘에는 말 그대로 우주 해파리가 생성됐는데 이 몽툭한 몸체는 팰컨9의 로켓 엔진 노즐에서 나오는 배기 가스다. 수평서 너머 어슴푸레한 태양빛이 배기 가스를 비추면서 하늘에 이같은 그림을 그리는 셈. 스페이스X 측은 "팰컨9 로켓이 성공적으로 발사돼 하늘에 매혹적인 빛을 남겼다"면서 "우주 해파리 현상은 새벽이나 황혼 무렵 로켓이 이륙 후에 발생한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지난 6일 발사된 팰컨9 로켓의 궤적과 우주 해파리 현상. 사진=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가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전세계 대상 위성 인터넷망 구축 프로젝트다. 지난 2019년 5월 60기 위성 발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2000기 이상이 지구의 하늘을 덮고있다. 지난 1월 기준 스타링크는 전세계 25개국에서 약 14만5000명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침공으로 기반 시설이 파괴된 우크라이나에서는 현재 스페이스X의 지원으로 하루 약 15만 명의 국민들이 스타링크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