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권력의 공간 '청와대' 시민 품으로...다채로운 행사 열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식이 열린 10일 청와대가 시민에게 전면 개방됐다.

청와대 전면 개방은 윤 대통령의 약속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제왕적 대통령제'의 상징인 청와대를 시민들 품으로 돌려주고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이전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대선 직후 당선인 신분이었던 윤 대통령은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이 아닌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경복궁의 후원(뒤뜰)이었던 현재 청와대 터는 1939년 조선총독 관사가 지어졌고 경무대란 이름으로 불리다가 윤보선 대통령 시절부터 '푸른 기와'라는 뜻의 청와대로 불렸다.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대통령이 거처를 이화장에서 경무대로 옮긴 후 대한민국 최고 권력자들이 집무를 하고 외빈을 영접하는 공간으로 쓰였다.

한편, 10일 오전 6시 30분, 일명 '김신조 사건'으로 입산 금지됐던 북악산 등산로가 완전히 개방된 것을 시작으로 청와대 개방의 포문을 열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전 11시엔 청와대 정문 개문 기념행사가 열렸다. 이번 행사는 청와대를 국민 모두가 누리는 열린 공간으로 재구성하고 국민의 품으로 돌려주는 개방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주최 측은 윤석열 정부 출범에 맞춰 국민과의 약속인 청와대 국민개방이 성공적으로 이뤄졌음을 축하하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전했다.

청와대 춘추문 앞에서 펼쳐지는 개방행사는 인근 지역주민·문화재 해설사·자원봉사자들로부터 소회를 듣고, 사전 공연·축시 낭독·대북 타고(打鼓) 퍼포먼스·춘추문 개문의 순으로 이뤄졌다.

개문 행사는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드린다는 '우리의 약속'을 주제로 한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희망의 울림'을 상징하는 퍼레이드가 펼쳐졌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래 74년 만에 국민 품으로 돌아온 청와대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지역주민과 학생, 소외계층 등 국민대표 74명이 정문을 통해 함께 입장했다. 윤 대통령이 이날 취임사를 마친 후, 행사 주최 측은 청와대가 시민들에게 전면 개방되는 영상을 송출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6차례에 걸쳐, 회차별 6500명씩 매일 3만9000명이 관람할 수 있다. 서울시는 청와대 개방 행사가 예정된 22일까지 청와대 주변 지하철역인 안국역과 광화문역을 지나는 3·5호선에 전동차를 추가로 투입하고, 서울 도심을 순환하는 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