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이슈 국내 백신 접종

"화이자·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접종, 급성심낭염 발생과 연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RNA 기반 백신, 급성심낭염 발생 연관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은 유의성 없어

아시아경제

화이자 백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나예은 기자] 화이자, 모더나 등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반의 코로나19 백신이 급성심낭염 발생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의 코로나19백신안전성위원회는 12일 오후 열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에 대한 제2회 연구 결과 발표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발표회는 코로나19 예방접종에 따른 △길랭-바레증후군 △밀러휘셔증후군 △비보상성급성심부전 △신생급성심부전 △대동맥 박리 △급성횡단척수염 △급성파종성뇌척수염 등에 대한 분석과 신고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정보의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 보고회다.

앞서 지난 3월 개최된 제1회 발표회에서 위원회는 "급성심근염의 경우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등 mRNA 백신 접종과 인과성을 인정할만한 근거가 확인됐으나, 급성심낭염은 인과성을 인정할 근거가 부족하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위원회가 추가 연구를 진행한 결과 mRNA 백신 접종군에서 급성심근염 뿐만 아니라 급성심낭염 발생률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사실을 확인했다.

백신 2회 접종 후 급성심낭염 발생률은 화이자 백신의 경우 6.5배, 모더나 백신의 경우 1.77배로, 발생률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관찰됐다. 이는 자기-대조 환자군 연구(Self-Controlled Case Series design)를 통해 접종 후 발생 위험률과 접종 이전 또는 이후의 대조구간에서 이상반응 발생을 비교한 결과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mRNA 백신과 달리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인 아스트라제네카(AZ)의 경우 급성심낭염 발생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길랭-바레증후군 및 밀러 휘셔 증후군은 백신 접종에 따른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위원회는 해외 연구 사례 등을 볼 때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과의 인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봤다.

대동맥 박리, 심부전 등은 코로나19 백신과의 인과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급성횡단척수염은 백신 접종 후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나, 현재 결과만으로는 인과성을 인정하기에 충분치 않은 것으로 봤다.

급성파종성뇌척수염은 백신 접종 후 발생에 대한 유의성도 보이지 않는 데다 매우 드문 질환이어서 현재까지의 근거로는 인과성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위원회는 "급성횡단척수염 및 급성파종성뇌척수염은 향후 대상자 수를 추가로 확보하고 진단이 타당한 지 등을 확인해 분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병주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코로나19백신안전성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발표회에서 언급된 질환들 외에도 국내에서 주요하게 이슈가 되는 이상 반응에 대한 백신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검토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예은 기자 nye87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