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군정, 반군부 인사 2명 사형 집행키로…국제사회 '반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1월 테러 혐의로 사형 선고…대변인 "항소·감형 요청 기각돼"

유엔·국제앰네스티 "사형 집행 철회하고 즉각 석방해야"

연합뉴스

사형 선고를 받은 초 민 유(왼쪽)와 표 제야 또(오른쪽)
[이라와디 사이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김범수 특파원 = 미얀마 군사정부가 반군부 정치인과 활동가에 대해 사형을 집행하겠다고 밝혀 유엔 등 국제사회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4일 현지매체인 이라와디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은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소속 표 제야 또(40) 전 의원과 시민 활동가 초 민 유(53) 등 4명에 대한 사형 집행을 승인했다.

AFP통신도 조 민 툰 군정 대변인이 이들에 대해 교수형을 집행할거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조 민 툰 대변인은 인터뷰에서 "법원이 피의자들의 항소 및 감형 신청을 기각했기 때문에 더이상 남은 절차가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또 군정에 정보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한 여성을 살해한 두명의 남성도 사형이 집행될거라고 그는 덧붙였다.

그러나 사형 집행 날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조 민 툰 대변인은 전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해 2월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한 뒤 이에 반발해 저항운동을 벌여온 활동가들과 정치인들을 대거 체포해 기소했다.

이중 113명에게 반테러법 위반 혐의 등으로 사형을 선고했으나 아직까지 집행을 한적은 없다.

미얀마는 지난 1990년 이후로 사형을 집행한 사례가 없다.

표 제야 또와 초 민 유는 각각 지난해 11월과 10월에 체포된 뒤 올해 1월 반테러법위반 혐의가 인정돼 사형이 선고됐다.

이중 '지미'라는 별칭을 지닌 초 민 유는 지난 1988년 민 코 나잉과 함께 반독재 민주화 시위를 이끈 이른바 '88세대' 핵심 인물로 지난해 2월 쿠데타 이후 반군부 활동을 주도해왔다.

한편 유엔 등 국제사회는 미얀마 군정을 강하게 비난하면서 이들에 대한 사형 집행 방침을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군정이 개인의 생명과 자유 및 안전에 대한 권리를 침해했다"고 지적하면서 두명의 정치인과 활동가의 조속한 석방을 요청했다고 스테판 두자릭 대변인은 전했다.

인권단체인 국제앰네스티 대변인도 "사형 집행을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한편 이를 위한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개입을 촉구했다.

bumso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