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 점검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운송거부를 강행하게 된다면 물류 차질을 피할 수 없다”며 “우리 경제와 국민에게 무거운 짐을 지우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운송거부 확산 시 대외 신인도 저하, 수출입 화물 물류 차질 등 심각한 경제적 피해와 함께 국민 생활 불편이 가중된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한 총리는 “정부도 원만한 해결을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며 “새 정부는 법이 허용하는 권리 행사는 확실히 보호하지만, 법을 위반하고 무시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철저하게 엄단한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른 부처들도 사태 확산에 대비한 비상대책을 철저히 준비하도록 했다.
가뭄 상황에 대해서는 관계 부처와 각 지방자치단체에 “용수가 부족한 지역에 대한 급수 활동을 차질없이 진행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부는 가뭄 피해를 줄이기 위해 행정안전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 부처에 가뭄대책상황실을 구성, 피해 상황을 집계하고 급수 대책비 지원, 대체 수원 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산물 수급 불안 가능성에도 미리 대비할 계획이다.
한 총리는 “6·1 지방선거로 자치단체장이 바뀌는 지역이 많다”며 “가뭄 대응 업무에 공백이 발생하거나 소홀함이 없도록 각별히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