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김성환, 대통령 집무실 공사 수의계약에 “시공능력·자격 부실 업체에 맡긴 의혹 밝혀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주당 김 정책위의장 “국가 안보 직결되는 대통령 집무실 공사 어떻게 수의계약으로 수주했는지 의문. 세간에는 특정인과 연결된 업체가 아니냐는 의혹도” 지적

세계일보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사진)은 서울 용산 소재 대통령 집무실의 리모델링(개보수) 시공업체 선정과 관련해 “사건의 내막이 투명하게 밝혀지지 않는다면 진실을 밝히는 데 특단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경고했다.

김 의장은 9일 정책조정회의에서 “윤석열 정부는 시공능력도, 자격도 부실한 업체에 국가 안보와 직결된 공사를 맡기려는 사유를 명백히 밝혀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공사비가 6억8000만원에 이르는 대통령 집무실 리모델링 공사가 수의계약으로 체결됐다고 한다”며 “이 과정에서 선정된 업체의 자격과 능력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해당 업체는 지난해 12월1일 새로 등록된 업체로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 평가액은 3억7000만원이고. 기술능력평가액은 2억5000만원에 불과하다”며 “시공능력평가액은 건설업법에 따라 건설업자가 도급받을 수 있는 건설공사금액의 한도액을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건설업자는 한도금액을 벗어난 공사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심지어 해당 업체의 임직원 중 기술 자격을 갖춘 인력은 2명에 불과하고, 그중 1명은 초급 기술자라고 한다”며 “이런 업체가 어떻게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대통령 집무실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수주했는지 국민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세간에는 이 업체가 특정인과 연결된 업체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고도 했다.

대통령실과 조달청 나라장터 등에 따르면 대통령비서실은 경기도 포천에 소재한 한 업체와 공사비 6억8208만원 규모의 ‘청사 내 사무 공간 환경개선’ 계약을 맺었다. 경쟁입찰이 아닌 비서실이 업체를 지정하는 수의계약 형태였는데, 청와대에서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면서 리모델링 일정이 빠듯하게 진행된 데 따른 조치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대통령실은 또 이 업체가 청사 3∼8층의 각 사무실을 연결하는 간유리(불투명유리) 설치 작업을 맡았다고 확인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보안이나 시급성이 이슈가 될 때는 수의계약을 할 수 있다고 한다”며 “그런 이유로 수의계약이 체결됐고, 급하니 일하는 과정에서 주변에 수소문해 이 업체와 일하게 됐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수의계약을 맺은 (공사) 업체는 그 외에 다수”라며 “워낙 급하게 공사를 진행했어야 했기에 바로 (현장 투입) 된다는 업체를 수소문하고 자기들이 가능하다고 하면 들어와 보안각서를 쓰고 하라고 했다”고 거들었다.

‘통상 정부 조달사업은 공고를 내는데 이번엔 일반인이 인테리어 공사를 할 때 건축 사무소에서 업체를 여기저기 수소문하는 것처럼 했다는 것이냐’는 기자들의 물음에도 관계자는 “그런 비슷한 과정을 거쳐 구한 거로 안다”고 답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