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여기는 중국] 중국, 세계 최대 규모 망원경 탑재한 우주관 건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남서부 티베트족 자치구에 세계 최대 구경의 굴절식 광학천체망원경을 탑재한 우주관이 들어설 전망이다.

중국 관영매체 관찰자망은 지난 12일 티베트 자치구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고지대 라싸에 최대 규모의 망원경을 탑재한 우주관 건립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14일 보도했다.

오는 2024년 6월 완공될 예정인 티베트 우주관은 완공 후 위성 및 우주선 발사 업무를 담당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우주관 옥상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제작된 길이 지름 1.06미터 규모의 굴절식 광학천체망원경이 탑재돼, 완공 후 시속 약 10억km 수준의 속도로 1년을 가는 거리(광년)에 있는 우주 모습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외계행성 등 우주 천체 관측 외에도 위성과 우주선 발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 연구에도 탁월한 기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이번에 건립될 우주관은 총 1만 1천 571평방미터 규모로, 완공 후에는 티베트 자치정부에 운영을 일임돼 연간 1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 지역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성됐다.

이에 앞서 지난 2020년에는 중국 구이저우성에 세계에서 가장 큰 전파망원경(FAST)가 설치돼 계획보다 1년 앞당긴 올초 정식 가동에 들어간 바 있다.

당시 축구장 30여 개를 합한 것과 동일한 면적인 25만 제곱미터 규모로 총 46만 개의 반사 디스를 통해 우주에 존재하는 중성수소 가스와 펄서 행성, 성간 물질 등의 탐사에 나선 것이 화제가 됐다.
서울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 정부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을 활용해 외계 행성 간에 있을 수 있는 미세 통신 신호를 포착하는 등 외계인의 흔적을 찾는데 집중해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중국은 오는 2045년을 목표로 우주 기술과 개발 분야에서 전세계 리더로 부상하겠다는 이른바 ‘우주 굴기’를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지난 2019년 달의 뒷면에 인류 최초로 탐사선을 착륙시킨 데 이어 오는 2024년에는 달 뒷면의 샘플을 채취해 우주 생명체 존재 여부를 확인하겠다는 포부도 밝힌 바 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