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우주를 보다] 화성, 가보기도 전에 오염부터…‘인류 쓰레기’ 뒹굴뒹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16일(이하 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화성 탐사 로버(이동형 탐사 로봇) ‘퍼서비어런스’호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뜻밖의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류가 아직 발도 못 디딘 화성에서 뜻밖의 쓰레기가 포착됐다. 16일(이하 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화성 탐사 로버(이동형 탐사 로봇) ‘퍼서비어런스’호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뜻밖의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나사가 공개한 사진에는 화성 돌 틈에 작은 알루미늄 조각이 쓰레기처럼 끼어 있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나사는 지난해 2월 퍼서비어런스호가 고대 삼각주로 추정되는 ‘예제로 크레이터’에 착륙하는 과정에 조각이 떨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나사는 “착륙 때 퍼서비어런스호를 내려놓은 로켓추진 제트팩 등의 하강 장비에서 떨어져 나온 열 담요(thermal blanket)의 일부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열 담요는 온도조절 목적으로 기기와 로버를 덮는 데 이용된다.
서울신문

나사는 “착륙 때 퍼서비어런스호를 내려놓은 로켓추진 제트팩 등의 하강 장비에서 떨어져 나온 열 담요(thermal blanket)의 일부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열 담요는 온도조절 목적으로 기기와 로버를 덮는 데 이용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사 로버 운영팀은 이어진 다른 트윗에서 “하강 장비는 약 2㎞ 떨어진 곳에 추락했는데 열 담요 조각을 이곳에서 발견한 것은 놀랍다. 원래 이곳에 떨어진 것일까 아니면 바람에 날려 온 것일까?”라고 의문을 표시했다.

나사 제트추진연구소(JPL) 대변인 앤드루 굿은 CNET과의 인터뷰에서 “이 조각이 열 담요에서 떨어져 나온 것은 분명하지만 어느 부위를 덮었던 것인지, 또 어떻게 이곳에 있게 된 것인지는 덜 분명하다”고 밝혔다.
서울신문

퍼서비어런스호가 착륙하는 과정에서 떨어져 나온 잔해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4월 18일 화성 헬기로 활약 중인 ‘인저뉴어티’는 퍼서비어런스가 하강 과정에서 떼어낸 낙하산과 원뿔형 보호덮개 잔해를 포착한 바 있다./출처=NASA/JPL-Caltech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퍼서비어런스호가 착륙하는 과정에서 떨어져 나온 잔해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4월 18일 화성 헬기로 활약 중인 ‘인저뉴어티’는 퍼서비어런스가 하강 과정에서 떼어낸 낙하산과 원뿔형 보호덮개 잔해를 포착한 바 있다.

영국 가디언지는 이번 사진이 우주탐사로 달과 화성이 오염될 수 있다는 우려를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우주탐사와 이용에 관한 국제법 ‘외기권조약’은 외기권과 달, 다른 천체에 대한 오염을 피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