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이슈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서해 피격 공무원' 책임…정봉훈 해경청장 등 지휘부 일괄 사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월북 번복' 서해 피격 공무원 사건 영향

세계일보

정봉훈 해경청장(치안총감)을 비롯한 치안감 이상 해경 고위 간부 9명은 24일 ‘북 피격 공무원’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해 피격 공무원’ 사건 수사와 관련 정봉훈 해양경찰철장을 포함한 치안감 이상 해경 간부 9명이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24일 정 청장은 이날 오전 11시 20분쯤 전국 해경 지휘관 화상회의를 열고 해양경찰청장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정 청장은 화상회의에서 “최근 우리 조직에 닥쳐온 위기 앞에서 부족하나마 조직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이 시간부로 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랜 고심 끝에 우리 해경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휘부를 구성하는 것만이 답이라는 결론을 얻게 됐다”며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정 청장의 사의 표명과 함께 서승진 해경청 차장(치안정감), 김병로 중부해경청장(치안정감), 김용진 기획조정관(치안감), 이명준 경비국장(치안감), 김성종 수사국장(치안감), 김종욱 서해해경청장(치안감), 윤성현 남해해경청장(치안감), 강성기 동해해경청장(치안감) 등 치안감 이상 간부 8명도 사퇴 의사를 밝혔다.

해경 지휘부의 일괄 사의 배경에는 최근 ‘수사 결과 뒤집기 논란’을 일으킨 서해 피격 공무원 사건이 영향을 미쳤다.

세계일보

정봉훈 해양경찰청장이 24일 오전 인천 연수구 해양경찰청에서 사의를 표명하고 있다. 해양경찰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해경은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대준(사망 당시 47세)씨가 2020년 9월 인천시 옹진군 소연평도 해상에서 북한군 총격에 피살된 지 1주일 만에 그가 월북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월북 근거로는 북한의 통신 신호를 감청한 군 당국의 첩보와 사망하기 전 이씨의 잦은 도박, 채무를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해경이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중간수사 결과 발표 1년 9개월만인 지난 16일 이씨의 월북 의도를 찾지 못했다며 기존 수사결과를 뒤집으면서 논란이 일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뒤집힌 수사결과를 두고 ‘새 정부 외압’ 논란이 일자 정 청장은 22일 “수가 결과 발표와 관련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한편 이씨는 2020년 9월 21일 인천시 옹진군 소연평도 남쪽 2.2㎞ 해상에 있던 어업지도선을 타고 실종, 하루 뒤 북한군의 총격으로 숨졌다.

인천=박명원 기자 033@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