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전세계 코로나 상황

[오늘 A주] 3대 지수 하락 마감...유동성 흡수·코로나19 재확산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하이종합지수 3355.35(-48.68, -1.43%)

선전성분지수 12811.33(-161.78, -1.25%)

촹예반지수 2802.72(-22.41, -0.79%)

커촹반50지수 1101.75(+10.82, +0.99%)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6일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는 거래 내내 하락 곡선을 그리면서 각각 1.43%, 1.25% 내렸고 촹예반지수는 오전 거래서 상승 전환하는 듯 했으나 곧 반락하며 0.79% 하락했다. 커촹반50지수만 0.99% 오른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뉴스핌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6일 추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중앙은행의 잇따른 시중 유동성 흡수 소식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여파가 컸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6일 역레포(역환매조건부 채권) 거래를 통해 7일물 30억 위안(약 5840억 원, 금리 2.10%)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다만 이날 1000억 위안 규모의 역레포가 만기를 맞이한 것을 고려할 때 실제로는 970억 위안의 유동성을 흡수한 셈이다. 이로써 이번주 3거래일 동안 인민은행이 흡수한 유동성은 3010억 위안에 달한다.

인민은행이 잇따라 유동성을 거둬들이면서 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의 통화기조가 긴축으로 전환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다만 다수 전문가들은 경기 회복세 등을 고려할 때 긴축으로의 선회는 '시기상조'라는 데 무게를 뒀다. 과잉 공급된 유동성을 일부 흡수한 것일 뿐 취업률이나 구매관리자지수(PMI) 등 핵심 지표가 확실히 개선되기 전까지는 완화 기조가 유지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공장이 위치한 시안(西安)이 사실상 봉쇄에 돌입하고 상하이시도 일부 지역에 대해 준봉쇄 수준의 고강도 방역 조치를 취했다. 또 다시 드리운 코로나19 그림자와 그에 따른 봉쇄 우려에 투심이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외자도 빠져나갔다. 선구퉁(深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은 24억 31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했지만 후구퉁(滬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은 22억 8100만 위안의 순매도를 기록하면서 북향자금(北向資金, 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 후구퉁과 선구퉁 거래 총액)은 13억 8300만 위안의 순매도를 나타냈다.

섹터별로 보면 관광지 및 여행, 호텔, 요식업 섹터가 하락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봉쇄 우려가 커진 것이 악재가 됐다.

석유 섹터도 약세를 나타냈다. 미국과 유럽의 경기 침체 전망이 국제 석유 가격을 끌어내렸기 때문이다. 씨티뱅크는 경기 쇠티 여파로 석유 가격이 연말에 배럴당 65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반도체 테마주들은 상승했다. 미국 정부가 네덜란드 반도체 제조장비 업체 ASML의 대중국 수출 중단을 위해 네덜란드 정부에 압력을 가했다는 소식에 '반도체 자립' 테마주들이 반사이익을 본 것으로 풀이된다.

섹터 대표 종목인 AMEC(중미반도체) 호실적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AMEC는 지난 2분기 순이익이 전 분기 대비 159~210% 가량 증가했을 것으로 예고했다.

한편 인민은행 산하 외환거래센터는 이날 달러당 위안화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260위안 올린 6.7246위안으로 고시했다. 위안화 가치로는 전일 대비 0.39% 하락한 것이다.

hongwoori84@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