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8 (토)

이슈 5세대 이동통신

이종호 장관 만난 통신3사 CEO…5G 중간요금제 내달 내놓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통신3사 CEO 간담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간담회에선 5G 중간요금제 출시 문제가 주로 다뤄졌다. 왼쪽부터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이 장관, 구현모 KT 사장,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 [사진 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10GB 미만 또는 110GB 이상. 극과 극이던 5세대(5G) 이동통신 요금체계에 ‘중간’이 생긴다. 지난 2019년 5G 상용화 이후 4년 만이다. 매출 감소를 우려하는 통신사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은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유영상 SK텔레콤(SKT) 대표, 구현모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와 취임 후 첫 간담회를 가졌다. 윤석열 정부가 지난 5월 30일 ‘긴급 민생 안정 10대 프로젝트’ 중 하나로 제시한 5G 중간요금제가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동통신시장 1위 사업자인 SKT는 이날 간담회를 앞두고 중간요금제 출시 신고서를 제출했다.

현재 통신3사의 5G 요금제는 둘로 쪼개져 있다. 데이터 제공량이 10~12GB(5만5000원) 이하인 경우와 110~150GB(6만9000원·7만5000원) 이상인 경우다. 그러나 정부가 집계한 5G 이용자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한달에 26.8GB다. 그래서 대다수 이용자가 필요 이상의 고가 요금제에 가입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소비자단체들 역시 중저가 5G 요금제를 즉각 출시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5G 중간요금제가 통신사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일부 증권업계의 분석도 이런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중앙일보

통신3사 5G 요금제 현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통신사들도 중간요금제 출시 요구를 더는 외면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정부가 강력하게 요구하는 만큼 각 사는 8월 초 출시를 목표로 준비 중이다. 유영상 SKT 대표는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5G 통신 보급률이 40% 정도 됐다”며 “5G가 보편적 서비스가 된 이 상황이 중간요금제를 도입하기 가장 적절한 타이밍”이라고 말했다. SKT는 이날 과기부에 5G 데이터 24GB를 월 5만9000원에 제공하는 등 5G 요금제 출시 계획을 신고했다. KT와 LG유플러스도 내달 중 중간요금제를 선보일 전망이다.

통신사들은 정부·소비자 요구대로 5G 중간요금제를 출시하는 대신, 28㎓ 대역 주파수에 대한 정책 방향을 재조정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실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중간요금제를 수용하고, 골치 아픈 규제를 털어내겠다는 전략이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통신사들에 28㎓ 주파수를 할당하면서 기지국 의무 구축 수량을 부과했지만,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통신 3사가 구축해야 할 기지국 수는 각 사 1만5000대씩 총 4만5000대지만 준공을 마친 실제 기지국 수는 지난 4월 기준 5059대(11.2%)에 불과하다. 이 기지국은 주로 다가올 6G 시대의 기반으로 활용된다.

정부는 5G 중간요금제가 출시되면 고가 요금제를 이용하는 가입자 상당수가 중간요금제로 이동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실장은 “상위 요금제를 이용하는 가입자 중 일부가 중간요금제로 내려와서 통신비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24GB 요금제가 10GB와 110GB로 양분화한 요금제의 ‘중간 수준’으로 적절하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도입 후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홍 실장은 “월별로 다르지만 5G 사용자의 평균 데이터양은 23~26.9GB, 상위 5% 헤비유저를 제외한 평균은 18~22GB”라며 “전반적으로 요금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김경미 기자 gaem@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