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전국 '코로나19' 현황

서울경찰청 "거리두기 해제 이후 마약 사건 늘어···내일부터 특별 단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다크웹과 가상자산을 통해 대마를 유통·투약한 일당 187명이 무더기로 검거되는 등 마약 사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경찰이 17일부터 마약 사범 특별단속을 실시한다.

서울경찰청은 “마약범죄수사대와 각 경찰서의 마약 전담 수사 인력 88명을 포함한 전 형사 인력을 투입해 오는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마약류 사범 특별 단속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마약 관련 사건으로 검거된 인원은 2019년 2366명, 2020년 2629명, 2021년 2590명으로 코로나19 상황 이후 크게 늘었다. 올해는 6월까지 1343명이 검거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관련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이다.

서울경찰청은 “마약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공급 및 유통 사범 단속이 우선돼야하기에 이번 특별단속에서는 ‘해외를 기반으로 한 공급사범 중심’으로 단속을 실시할 방침”이라며 “해외 주재관과의 국제 공조를 통해 해외 마약 공급책 검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외국인 마약 사범의 비율은 2019년 7.9%(188명)에서 지난해 15.7%(252명)로 느는 등 최근 외국인에 의한 마약 범죄도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서울 동작경찰서는 지난해 4월부터 10월까지 태국에서 필로폰을 밀반입해 국내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판매한 조직원 23명을 검거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외국인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도 집중 단속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찰은 다크웹과 같은 인터넷을 통한 마약 유통을 막기 위해 가상자산 추적 프로그램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서울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는 지난해 5월까지 다크웹과 가상자산을 이용해 대마를 판매한 일당 187명을 검거하고 2020년 7월부터 수도권 일대에서 대마를 재배한 후 가상화폐를 이용해 유통한 일당 92명을 검거하기도 했다.

경찰은 마약사범의 저연령화와 오남용을 막기 위해 관련 교육 활동도 강화할 방침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범죄단체 조직죄’를 적용해 기소 전 몰수추징 보전으로 범죄 수익을 적극적으로 환수하고 마약류 해외 밀반입 차단을 위해 관세청과의 정보 공유 체계를 강화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강동헌 기자 kaaangs10@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