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靑활용방안 공방…野 "정체성 훼손" 박보균 "총독부와 무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체위 업무보고 신경전…전재수 "김여사측 미술전시 활용 추진"

박보균 "대통령의 비전·철학"…황보승희 "해외에도 성공사례"

연합뉴스

답변하는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2.7.28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28일 문체부 업무보고에서는 청와대 활용방안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과 박보균 문체부 장관 사이에 신경전이 이어졌다.

민주당 유정주 의원은 질의에서 "문화재청 노조가 베르사유 궁전처럼 꾸미는 것에 우려를 표명했다. 청와대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이 훼손되는 계획에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술 더 떠서 모두가 반대하는 구 본관인 조선총독부 관저를 미니어처로 제작한다고 했다"며 "이걸 왜 문체부가 나서서 복원하느냐"고 따졌다.

이에 박 장관은 "베르사유 궁전처럼 꾸민다는 말을 한 적도 없고 발표한 적도 없다"며 "원형을 보존하면서 예술·전시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글로벌 대표사례가 베르사유 궁전이기 때문에 사례를 하나로 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 본관 미니어처 제작과 관련해서도 "조선총독부와는 전혀 상관없다"고 일축했다.

그러자 민주당 임오경 의원은 '베르사유 궁전처럼'이라고 한 박 장관의 발언 영상을 재생하면서 "베르사유가 화려한 외관으로 뒤덮인 사치와 폭정의 아이콘이라면 청와대는 고려 남궁터에서 경복궁의 후원으로, 김영삼 전 대통령 때에는 문민정부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장소"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서도 박 장관은 "뒷부분이 빠졌는데, 거기에 핵심이 있다"며 "베르사유 궁전처럼 청와대 원형을 보존하면서 전시공간을 확보하겠다(는 것), 원형 보전에 핵심이 있다"고 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자막을 (재생)하시면 뒷부분까지 다 틀어주셔야지, 그렇게 안 하시니 그렇다"고 말하기도 했다.

또 임 의원이 "문화재청이 청와대 터를 국가 사적으로 등록하고 발굴 조사를 해야 한다고 밝혔음에도 문체부는 이를 '패싱'했다"고 주장하자, 박 장관은 "패싱이란 단어는 이해할 수 없다. 패싱 한 적 없다"고 반박했다.

임종성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야 청와대 이전이 본인 최대의 업적이라 생각할 테니 그럴 수 있다고 쳐도, 문체부 장관은 부화뇌동해서는 안 된다"며 "미국의 백악관도 빼서 일반 시민에 개방하고, (대통령은) 펜타곤으로 옮겨가도 되겠느냐"고 했다.

박 장관은 "청와대의 개방은 대한민국 역사에서 권위주의 정치와 결별하는 엄청난 결단"이라고 맞섰다.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리고 있다. 2022.7.28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전재수 의원은 대통령실과 문체부, 문화재청 사이의 혼선을 지적하면서 "대통령실과 중앙정부가 봉숭아학당이 돼야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른 부처를 무시하고 대통령실도 패스하는 장관님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지 의아하다"며 "인수위 누군가, 또는 김건희 여사 측 주변에서도 청와대의 미술전시관 활용을 추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박 장관은 "청와대의 문화예술공간 활용은 대통령의 비전과 철학을 바탕으로 출발했다"며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이견이 있는 것으로 비칠 요소가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치밀한 협조와 조율이 있었다"고 반박했다.

반대로 국민의힘은 박 장관에게 충분한 해명 기회를 주며 엄호에 나섰다.

국민의힘 이용 의원은 "야당의 주장처럼 치욕스러운 일제 야욕의 복원이 아니라 아픈 역사도 기억하고 싶은 것 아니냐"고 말했다.

박 장관은 "옛 조선총독부 외형을 미니어처로 만드는 게 아니다"라며 "정확히는 대통령 집무실 보여주기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황보승희 의원은 "마치 문체부와 문화재청의 입장이 다른 것처럼 표출됐는데, 실제로 소통이 안 되느냐"고 물었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아니다"라고 말하자 황보 의원은 "이런 것들로 국민들이 우려하게 만들지 말라. 해외에도 원형을 보존하며 개방해서 성공한 사례들이 있다"고 강조했다.

sncwoo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