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3 (목)

이슈 코로나19 백신 개발

美, 9월에 2차 부스터샷 50세 미만으로 확대...신형 백신 동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월 9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랜스데일에서 보건 당국 직원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로이터뉴스1


[파이낸셜뉴스] 미국 정부가 오는 9월부터 50세 미만 국민들에게도 코로나19 백신 2차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접종에는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를 겨냥한 신형 백신이 동원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현지시간) 보도에서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신형 백신 출시가 예상보다 빨라졌다며 이를 이용해 2차 부스터샷 접종을 확대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현재 미 정부는 50세 이상의 미국인과 특정 면역 결핍이 있는 12세 이상의 미국인에게만 기존 백신을 이용해 2차 부스터샷 접종을 하고 있다. 미 식품의약국(FDA)은 고문들은 지난 6월 말에 백신 제조사들이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백신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FDA는 이에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모더나 등 주요 백신 제조사들에게 신형 백신 제작을 요구했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4와 BA.5를 겨냥한 개량형 백신을 제작중이며 9월 중순에 이를 출시할 예정이다.

미 정부는 이번에 2차 부스터샷 접종 범위를 확대하면서 부스터샷을 한번도 접종받지 않은 이들에게 최대한 빨리 접종하라고 권할 계획이다. 짧은 기간 내에 부스터샷을 연속으로 접종받으면 심장 질환인 심근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라호야 면역학 연구소의 바이러스학자 셰인 크로티는 "만약 8월 1일에 백신을 접종하고 9월 15일에 또 맞을 경우 항체가 너무 많아서 소용이 없다"며 "이는 파상풍이나 독감 예방 주사 같은 다른 백신에도 적용되는 패턴"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 정부는 올해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계약에서 코로나19 백신 1억500만회분을 32억달러(약 4조1900억원)에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회당 30.50달러로, 2020년 구매가(19.50달러)보다 비싸졌다. 미 정부는 조만간 모더나와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