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정치권 사퇴와 제명

권성동 "당대표 대행 사퇴"…격랑의 국민의힘, 비대위 전환 '초읽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배현진·조수진·윤영석 최고위원 사퇴

초선의원 32명, 비대위 전환 요구 '연판장'

권성동, 당대표 대행서 물러나 "비대위 전환 노력"

비대위 구성 앞두고 요건·방향성 의견 '분분'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국민의힘이 집권 여당이 된 지 두 달여 만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체제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졌다. 당 지도부인 배현진·조수진·윤영석 최고위원 사퇴와 초선의원 일부의 비대위 전환 요구에 결국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1일 당대표 직무대행 자리를 내려놨다.

다만 비대위 성립 요건과 비대위원장 선임 관련 당헌·당규 해석을 놓고 이견이 있는 상황. 이준석 당대표 측의 반대 의견도 거세 비대위 구성까지는 당내 진통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데일리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흔들린 ‘원톱’ 체제…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사퇴

이날 권성동 대행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당이 엄중한 위기에 직면했고 국민의 뜻을 충분히 받들지 못한 데 대해 당대표 직무대행으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당대표 직무대행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이준석 대표에 대한 당 중앙윤리위원회 중징계 이후 권성동 원내대표가 당대표 직무대행까지 맡는 안이 지난 11일 의원총회에서 추인된 지 20일 만이다.

권 대행은 “여러 최고위원 분들의 사퇴 의사를 존중하고 하루라도 빠른 당의 수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한다”며 “조속한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이데일리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 원내대표실에서 최고위원 간담회를 마치고 나와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9일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이 “윤석열 정부 출범 80여일 되도록 속시원한 모습으로 국민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해 송구하다”며 당 지도부 가운데 가장 먼저 최고위원직을 내려놨다. 이틀 후인 31일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 역시 최고위원직을 사퇴했다.

이날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도 “집권여당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데 사죄드린다”며 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났다. 이어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도 “현 정부와 당을 위해 직에 연연하지 않고 헌신할 각오가 돼있다”며 사실상 정책위원회 의장직에서의 사퇴 의사를 표했다.

지난 29일엔 박수영 의원을 비롯한 국민의힘 초선 의원 32명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촉구하는 ‘연판장’을 작성해 당 지도부에 전했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 전체가 63명인 것을 고려하면 과반이 의견을 같이 한 셈이다.

이같은 사태는 권성동 ‘원톱’ 체제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벌어졌다. 대통령실 9급 직원 ‘사적 채용’과 윤석열 대통령이 권 대행에게 보낸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대표가 바뀌니 달라졌다’는 메시지 공개 등 잇딴 구설수는 권 대행 리더십에 대한 의구심으로 이어졌다.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지율도 하락하며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 주장에 힘을 보탰다.

이데일리

조수진(왼쪽)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당시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사진=국회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고위원 몇명 사퇴해야 하나’ 이견 커

문제는 비대위 구성 요건이다. 국민의힘 당헌상 비대위는 ‘당대표 궐위’ 혹은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 요건을 충족할 때 구성할 수 있다. 이 대표 징계는 이미 궐위가 아닌 사고로 정리됐다. 다른 요건인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이 성립돼야 한다. 앞서 2011년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 당시 홍준표 당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 5명이 사퇴해 ‘박근혜 비대위’가 들어섰던 전례가 있다.

그러나 최고위원 몇명이 사퇴했을 때 최고위원회의 기능 상실로 볼지 의견이 갈린다. 최고위 의결 정족수는 재적인원의 과반이다. 이준석 대표가 자리를 비웠고 김재원 전 최고위원이 6·1 지방선거 대구시장 출마를 위해 사퇴하면서 공석이 돼 현재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당초 9명에서 7명이 됐다. 배현진·조수진·윤영석 최고위원까지 사퇴해 과반선은 무너졌다.

다만 이준석 대표 측 반발이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비대위 체제 전환 이후 조기 전당대회로 이어진다면 이 대표의 복귀 자체가 무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이 대표는 자신의 SNS에 “저 자들의 우선순위는 물가 안정도, 제도 개혁도, 정치 혁신도 아닌 각각의 이유로 당권 탐욕에 제 정신을 못차리는 나즈굴과 골룸”이라는 글을 올리며 당 내분 사태를 저격했다.

이에 이준석 대표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용태 최고위원은 “‘초유의 상황’ ‘비상상황’이라는 수사를 내세워 원칙을 저버리고 당을 제멋대로 운영해선 안된다”며 최고위원직에서 사퇴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조수진 의원도 “제가 분명히 ‘비대위로 가려면 전원이 사퇴해야 하는 수밖에 없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했다.

비대위 구성 과정도 난제다. 당헌상 비대위원장은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당대표나 당대표 권한대행이 임명토록 돼 있다. 그러나 현재 권 대행은 당대표 직무대행이고, 그마저도 이날부로 사퇴했다. 임시 지도체제인 비대위가 이후 조기 전당대회로 이어질지, 혹은 내년 1월 복귀하는 이 대표를 대행할지도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이 때문에 결국 ‘윤심’(尹心)에 따라 당 체제 향방이 정해지리란 분석이 나온다.

이데일리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