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원숭이두창 전세계 확산

‘원숭이두창’ 이름 바뀐다…“특정 집단·지역 낙인·차별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WHO “원숭이두창, 공개토론 거쳐 새 이름 찾기로”

“일반 대중도 원숭이두창 새 이름 제안할 수 있어”

세계일보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입자(붉은색) 전자현미경 이미지.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원숭이두창’(monkeypox)의 이름을 바꾸는 작업에 나섰다.

이는 특정 집단이나 지역에 대한 차별과 낙인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12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WHO는 이날 성명을 통해 공개토론을 거쳐 원숭이두창을 대체할 새 이름을 찾기로 했다고 밝혔다.

WHO는 일반 대중도 원숭이두창의 새 이름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WHO는 원숭이두창의 새 이름이 확정될 시점을 명확히 제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콩고분지형’과 ‘서아프리카형’으로 불려 온 원숭이두창의 두 가지 주요 변이의 명칭은 이미 각각 ‘계통군1’과 ‘계통군2’로 변경됐다.

WHO는 이러한 조처에 대해 “(특정) 문화, 사회, 국가, 지역, 직업, 민족집단에 불쾌감을 주는 것을 피하고 무역, 여행, 관광, 동물 복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던 원숭이두창은 올해 5월부터 세계 각국으로 확산했고, 현재까지 3만1000여 건의 발병 사례가 보고됐다.

이에 과학계에서는 원숭이두창이라는 명칭이 특정 집단이나 지역에 대한 차별과 낙인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명칭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질병의 명칭과 관련한 논란이 불거진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발생 초기 ‘중국 바이러스’나 ‘우한 바이러스’로 불렸고, WHO는 이런 이름이 아시아계에 대한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며 코로나19이라는 공식 명칭을 신설했다.

WHO는 지난달 원숭이두창에 대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한 상황이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