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연재] 아시아경제 '과학을읽다'

인공지능 시대 국가슈퍼컴 '포화'…3배 비싼 6호기 도입한다[과학을읽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88년 1호기 도입, 출연연-대학-기업들 365일 '작업 중'

오래 된 1~4호기, 부품 나눠주고 폐기돼

2018년 도입 5호기 '포화 상태'

세계 5~10위권 성능 6호기 내년까지 구축한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우리나라 국가슈퍼컴퓨터의 역사는 1988년 1호기 도입이 시작이다. 제도적 기반은 2011년 12월8일 발효된 ‘국가 초고성능 컴퓨터 활용과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마련됐다. 이 법안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초고성능컴퓨팅의 육성·발전을 위한 필요한 종합 정책을 마련해 시행한다. 과기정통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초고성능컴퓨팅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구성하며 5년마다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국가초고성능컴퓨팅센터와 전문센터 등 법안을 시행할 추진체계를 설치하도록 했다.

◇누가 어떻게 쓰나?

1~5호기까지 도입된 국가 슈퍼컴퓨터의 관리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산하 국가슈퍼컴퓨터관리센터가 맡고 있다. 현재 운용 중인 5호기는 KISTI 대전 본원에 설치돼 있다. 이용 대상은 국내 정부 출연 연구기관 30여곳, 대학 80여곳, 산업체 연구소 50여곳 등이다.

국가슈퍼컴퓨터 자원의 사용은 매년 3회 연구 주제·용도 등을 제출받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거쳐 지원대상으로 선정되면 가능하다. 선정된 연구 기관은 CPU 사용 시간을 배정받으며 통합 스케줄러를 통해 작업 일정이 관리된다. KIST 관계자는 "국가슈퍼컴퓨터는 공공 연구 인프라의 하나"라며 "사용이 허락된 출연연·대학·산업체 연구소 등이 수시로 접속해 항상 작업 중이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폐기된 슈퍼컴퓨터 어디로 가나

국가슈퍼컴퓨터는 컴퓨팅 기술의 빠른 진보로 인해 매 5년꼴로 교체된다. 폐기가 결정되면 해당 국가슈퍼컴퓨터는 분해되며 CPU나 메모리 등은 희망하는 연구기관들에 배분된다. 국가연구장비관리기구를 통해 이전 희망 기관을 공개모집해 자격·기반 여건을 심사해 나눠 준다. 1~4호기 국가슈퍼컴퓨터의 경우 매회 약 10개 기관이 나눠 가졌다. 슈퍼컴퓨터급 고성능 장비를 가동·관리하려면 공간, 전기·냉방 설비, 관리 인력 등을 갖춰야 해 만만한 일은 아니다.

◇6호기 도입에 예산 3배 급증

정부는 최근 2929억원을 들여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를 2023년부터 구축하기로 했다. 지난 5호기 구매에 총 908억원이 들었던 것에 비해 3배가 훨씬 넘는 가격이다. 그동안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직전 대비 50%가량 돈이 더 들었던 것을 감안하더라도 크게 늘었다. 2018년 구축된 5호기(누리온)는 과부하 상태로 최근 급성장한 AI 분야 수요 대응에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누리온은 구축 후 현재까지 평균 사용률이 73%이며 2020년 10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평균 85%, 최대 91%에 달한다. 이에 과제 지원율이 2016년 85%에서 지난해 51%로 급감했다. 초고속 컴퓨팅이 필요한 연구기관들이 제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정부는 최근 2023년부터 준엑사급(600페타플롭스)급으로 세계 5~10위권 성능인 6호기를 도입해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AI 및 빅데이터 활용 연구 수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KISTI 측은 "컴퓨팅 자원이 훨씬 더 많이 필요한 딥러닝 기반의 시뮬레이션·인공지능(AI) 위주로 연구 환경이 급변하면서 그만큼 더 고용량·고성능의 국가슈퍼컴퓨터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라며 "초대규모 자연어처리시스템 연구 등 슈퍼컴퓨터의 역할이 확대되고 수요처도 다변화했다"고 설명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