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잠복기 최대 3주…해외여행 이력, 국내 아닌 해외서 감염 '가능성'
병원 방문했으나 인지 안돼…증상 발현 후 닷새간 방치, 방역 '구멍'
전문가 "일상생활 감염 가능성 낮아"…첫감염자 접촉자 모두 무증상
원숭이두창 감염병 주의 인천공항 안내 모니터 |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3일 국내 2번째 원숭이두창 감염자가 발생한 가운데, 감염자가 국내에 입국한 지 2주가 지나 확진 사실이 확인된 경위가 주목된다. 특히 이 감염자는 증상이 발생한 뒤 닷새나 지나 의사환자로 분류돼 방역에 구멍이 뚫린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번째 감염자 A씨는 유럽 방문 후 지난달 18일 입국했으며 지난 1일 보건소에 스스로 문의하면서 방역당국(서울시 역학조사관)에 의해 의사환자로 분류됐다.
A씨는 입국 당시에는 무증상이었으며 같은달 28일 발열, 두통, 어지러움 등 증상이 나타났다. 같은달 30일에는 서울의 한 병원을 방문하기도 했지만 이곳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가능성이 파악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A씨가 입국한 지 2주가 지나서야 의심환자로 분류된 만큼 국내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과 대면접촉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국내 병원을 방문하기도 한 만큼 이곳에서 의료진, 환자들과 접촉했을 수도 있다.
국내 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해외 방문 이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A씨는 해외 방문지에서 감염된 뒤 국내에 유입된 사례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원숭이두창은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가 짧게는 5일에서 길게는 21일(평균 6~13일)에 달한다.
입국 후 2주 동안 방역망에서 걸러지지 않은 것은 이처럼 잠복기가 길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원숭이두창의 증상은 발열, 두통, 근육통, 근무력증, 오한, 허약감, 림프절 병증, 발진 등으로, 증상은 2~4주간 지속된다.
원숭이두창 주의 안내문 |
다만 A씨가 증상이 발현한 지난달 28일 이후 닷새가 지난 1일에야 의사환자로 분류된 만큼 원숭이두창의 방역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방역당국은 지난 6월22일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환자가 확인된 이후 관련 방역망을 강화해왔다.
감염병 위기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한 뒤 지난 7월 초 치료제인 '테코비리마트' 504명분을 도입했다. 필수의료진에 대한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 진단검사 체계도 확대하는 한편 원숭이두창 24시간 종합상황실과 즉각대응팀을 설치하는 등 대응체계를 구축했다.
그런데도 증상 발견 후 닷새나 환자가 발견되지 못한 만큼 방역 당국은 원숭이두창의 방역망이 느슨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원숭이두창에 대한 느슨한 방역망은 첫환자 발생 당시에도 제기됐었다. 첫 환자는 입국 당시 37.0도의 미열과 인후통, 무력증(허약감), 피로 등 전신증상과 피부병변(병적 작용에 의해 피부 세포나 조직에 일어나는 변화)의 증상이 있었지만, 공항 검역대를 무사통과했고 공항 로비에서 스스로 방역 당국에 신고했다.
같은 시기 입국했던 의사환자의 경우 입국 당시 건강상태질문서에 '증상없음'으로 표시해 검역장을 빠져나오기도 했다. 이 의사환자는 결국 음성 판정을 받아 원숭이두창 환자는 아니었다.
원숭이두창 백신 접종 준비하는 의료진 |
방역 당국은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전염 가능 기간 A씨의 동선을 파악하고 접촉자에 대해서는 노출 수준에 따라 위험도를 분류, 관리할 계획이다. 방역 당국은 원숭이두창의 접촉자를 고위험-중위험-저위험 3단계로 분류한다.
이 중 고위험군은 증상이 나타난 지 21일 이내에 접촉한 동거인, 성접촉자다. 저위험군은 접촉은 했으나 거리가 가깝지 않은 경우, 중위험군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숭이두창 환자를 진료한 의료인이다.
전문가들은 성접촉 등을 동반하지 않은 일상생활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A씨와 관련해서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접촉자가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6월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원숭이두창의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에 대해 "100% 없다고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거의 없다"며 "전신감염증으로 진행한 환자는 비교적 큰 크기의 비말(침)에 바이러스가 묻어나올 수 있지만, 코로나19와 같이 조금 거리가 있더라도 전파가 되는 그런 양상은 아니다"고 설명한 바 있다.
국내 첫 확진자와 관련해서는 함께 비행기를 탑승한 승객과 승무원 중 41명이 저위험 접촉자로, 8명이 중위험 접촉자로 분류됐는데 모두 의심증상 없이 감시가 종료됐다.
bkki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