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본관에서 원숭이두창 환자를 진료할 이한나 간호사가 원숭이두창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문호남 기자 munona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 국내 두 번째 원숭이두창 환자가 총 15명을 접촉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까지 고위험 접촉자는 없고 중위험 접촉자는 2명, 저위험 접촉자는 13명으로 지역사회 일상접촉을 통한 전파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질병관리청은 두 번째 원숭이두창 환자 A씨의 전염가능 기간 동선을 파악해 노출 수준에 따른 위험도를 분류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질병관리청은 가족·친구인 중위험 접촉자 2명, 의원·약국 등에서 환자와 만난 저위험 접촉자 13명을 확인했다.
중위험에 해당하는 접촉자는 최종 노출일로부터 21일간 거주지 담당 보건소에서 의심증상 등을 확인하는 등 능동 감시를 받는다. 저위험의 경우 의심증상을 인지하는 즉시 신고·문의하도록 하는 등 보건교육을 받는다.
A씨는 유럽 방문 후 지난달 18일 입국(당시 무증상)한 내국인이다. 귀국 열흘 뒤인 같은 달 28일 발열, 두통, 어지러움을 시작으로 증상이 발현됐다. 30일 국소 통증이 있어 동네 의원을 방문했다. 입국 후 2주일이 지난 이달 1일 본인이 직접 보건소로 문의했는데, 서울시 역학조사관이 의사환자(의심환자)로 분류해 유전자 검사를 진행한 결과 원숭이두창 확진자로 최종 확인됐다.
A씨는 지난달 30일 의원 방문 당시 발진 및 수포가 없는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병원에서는 피부통증을 호소했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