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이슈 자율형 사립고와 교육계

윤 정부 ‘자사고·외고 존치’ 이후 첫 입학전형 발표…경쟁률 오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 시내 자사고 경쟁률 추이 보니

2016학년도 1.94대1→2021학년도 1.09대1

10곳은 자발적으로 일반고 전환 선택

외고는 전국 30곳 중 절반이 ‘미달’

자사고·외고도 ‘양극화’ 지속될 듯


한겨레

2019년 1월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사회정의를 바라는 전국교수모임 주최로 열린 외고, 자사고, 국제고 폐지 반대 기자회견 및 정책토론회에서 김경회 성신여대 교수(왼쪽)가 기조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와 외국어고(외고)를 존치하기로 한 가운데, 그 동안 자사고·외고 문제가 가장 심각했던 서울의 입학전형 일정이 발표됐다. 입시업계 및 교육계에서는 학교 간 양극화 현상이 계속되면서 대학 진학 실적이 좋은 일부 자사고와 외고만 경쟁률이 유지 또는 반등할 것으로 본다.

서울시교육청이 최근 발표한 ‘2023학년도 서울특별시 후기 고등학교 입학전형’을 보면 일반고 209곳과 자사고 17곳, 외고 6곳, 국제고 1곳 등이 12월7일부터 9일까지 원서를 접수한다. 서울 시내 고교 입학전형은 전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전기 전형에서는 과학고, 예술고, 특성화고 등에서 학생을 먼저 선발한다. 외고·국제고 합격자 발표는 오는 12월23일, 자사고 합격자는 내년 1월2일 발표한다. 일반고 합격자(배정 대상자)는 내년 1월6일에 발표하고, 최종 배정 학교는 2월2일에 발표한다.

학령인구 감소와 고교 무상교육 도입 등의 영향으로 신입생 모집난을 겪어온 자사고의 형편은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6학년도 1.94대1였던 서울 지역 자사고(전국 선발 하나고 제외) 일반전형 경쟁률은 2020학년도 1.19대1, 2021학년도 1.09대1까지 내려갔다. 서울시교육청의 재지정 평가에서 탈락한 자사고들이 소송을 통해 부활하면서 2022학년도 경쟁률이 1.3대1로 반짝 반등하긴 했지만, 전체적인 하락세를 바꿀 정도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서울에서는 2012년 동양고를 시작으로 지난 7월 장훈고까지 10곳이 자발적으로 일반고 전환을 선택해, 17곳의 자사고만 남아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12일 <한겨레>에 “서울에서도 서초구 등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에 있는 자사고나 진학 실적이 좋은 자사고들에 한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쟁률이 소폭 상승할 수도 있을 것 같다”면서도 “자사고 양극화 현상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운명이 달라지는 자사고 대신 과학고를 선호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종로학원 분석을 종합하면, 지난달 2023학년도 입학원서 접수를 마친 서울 시내 과학고 2곳의 평균 경쟁률은 4.43대1로 2022학년도(3.76대1)보다 높고 2011학년도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반면 우수학생 이과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외고 2곳 가운데 1곳은 신입생 미달 사태를 겪고 있다. 2022학년도 입시 결과 전국 외고 30곳 가운데 15곳이 모집정원보다 지원자 수가 적었다. 다만 서울 대원·대일외고는 1.5대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학교별 편차가 나타났다. 임성호 대표는 “상위권 일반고 대부분이 이과반 위주로 편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문과 상위권 학생 입장에서는 외고를 대체재로 여길 수 있다”고 말했다. 변수는 고교학점제다. 우수학생들만 모인 자사고나 외고는 상대평가 체제 아래에서 일반고에 견줘 내신 성적을 따기 불리했는데 2025년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돼 성취평가(절대평가)로 바뀌면 그런 불리함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외고는 박순애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한때 ‘폐지’를 언급했다가 학부모들의 반발로 사실상 폐지가 백지화된 상태다.

학생의 학교선택권을 보장하는 것보다 고교 서열화 체제를 해체하는 것이 교육 정상화를 위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경원 경기도 교육정책자문관은 “성적이 좋고 가정환경이 좋은 학생들만 묶어서 학교에 다니게 하는 것이 과연 사회 통합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아이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교육이 필요한데 (윤석열 정부가) 학교 선택권을 보장해준다는 말은 부모 세대의 사회경제적 격차를 자녀 세대에게 고스란히 물려주자는 말과 같다”고 비판했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 장현은 기자 mix@hani.co.kr

▶▶어떤 뉴스를 원하시나요? 레터, 브리핑, 뒷얘기 다 여기에
▶▶<한겨레> 국장단이 직접 뉴스를 풀어 드립니다, H:730▶▶발로 뛰는 댕기자, 어디에도 없는 동물 뉴스!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