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 정국·이준석 리스크 해결은 최대 과제
주호영(가운데) 국민의힘 신임 원내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원내대표 경선을 마친 뒤 정진석 비대위원장(오른쪽), 권성동 전 원내대표와 기념촬영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5선 중진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국민의힘 새 원내대표로 선출됐다. 원내대표를 역임했던 주 신임 원내대표의 전례없는 재등판은 이준석 전 대표발(發) '가처분 변수'를 대비한 포석 성격이 크다. '정진석 비대위'마저 법원에 의해 제동이 걸릴 경우, 새 비대위를 꾸리는 대신 당내 최다선이자 직전 비대위원장인 주 원내대표가 당대표 직무대행을 겸하며 사실상의 원톱으로 당을 이끄는 구상이다.
주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경선에서 총 투표수 106표 중 61표를 얻어 호남 재선인 이용호 의원(42표)을 제치고 원내대표로 당선됐다. 무효표는 3표였다. 당 혼란을 수습하고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정기국회를 이끌 '안정적 리더십'에 대한 요구와 '윤심(尹心)'이 주 원내대표 쪽으로 쏠렸다는 당내 관측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주 원내대표의 임기는 권성동 전 원내대표의 잔여 임기인 내년 4월까지다.
주 원내대표는 당선 인사에서 "다시 한 번 일할 기회를 주신 데 대해 원망과 감사의 말씀을 함께 드린다"며 "이 의원이 당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많이 노력했는데 이를 당의 역동성으로 삼아 우리 당이 더욱 역동적이고 하나 되는 당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달 출범한 '주호영 비대위'가 법원 제동으로 8일 만에 좌초된 데 대한 부담감을 딛고, 당 위기 상황을 수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주 원내대표의 당선은 예상된 결과다. '정진석 비대위'가 법원 판단으로 또다시 무산될 경우 반복된 '가처분의 늪'에서 빠져 나올 유일한 방안은 중량감 있는 인사가 당대표 직무대행을 맡는 방안뿐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었기 때문이다. 권 전 원내대표 등 일부 '친윤석열계' 의원들이 추대 분위기가 날 수 있도록 주 원내대표를 확실히 밀어준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압승이 될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당내 기반이 거의 없는 이 의원과 표 격차가 '19표'에 불과했던 점은 향후 당 운영 과정에서 부담이 될 전망이다. 국민의힘 한 초선의원은 "이 의원에 대한 강력한 지지라기보다는 원내지도부 선출조차도 일부 '친윤석열계'의 지시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는 당 상황에 대한 반감을 표출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주호영 원내지도부' 앞에 놓인 안팎의 과제는 만만치 않다. 당장 여소야대 정국에서 더불어민주당을 설득해 주요 개혁 입법 과제를 추진하고 국정감사와 2023년도 예산안을 처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김건희 특검법' 등을 내세워 파상 공세에 나선 민주당을 효과적으로 제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 원내대표는 "우리의 중요 법안은 관철하되 숫자를 앞세운 민주당의 잘못된 법안은 철저히 저지하겠다"고 공약했다.
무엇보다 '이준석 리스크'라는 큰 산을 넘어야 한다. 오는 28일 이 전 대표가 '정진석 비대위'를 상대로 제기한 가처분 신청 사건 심리가 예정된 상황이다. 법원이 이번에도 이 전 대표의 손을 들어줄 경우 주 원내대표는 '원톱'으로 정진석 비대위원장 역할을 대신해야 한다. 최근 당 중앙윤리위가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 절차를 개시한 만큼 이 전 대표의 또다른 '가처분 공세'도 막아내야 한다. 정 위원장이 이날 경선 전 "과거 누가 언제부터 무엇을 잘못해서 이런 난관에 봉착했는지 그 잘잘못 따지기도 너무 멀리왔다"며 당의 단결을 호소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아울러 당내에서 영향력이 상당한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과 이번 경선에서 숫자로 확인된 '비윤석열계' 의원들과의 관계 설정도 과제다. 한 초선의원은 "이제까지 윤핵관이 주도했던 '박수 추인'과 같은 방식으로 당을 운영하기는 힘들 것"이라며 "당내 다양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밀어붙이기만 할 경우 반발의 불씨는 언제든 재점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민순 기자 soon@hankookilbo.com
박재연 기자 replay@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