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코스피 급락에...증안펀드 가동해도 'V'자 반등 어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코스피가 2년2개월래 최저 수준까지 떨어지자 정부가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 재가동 카드를 꺼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과거 3차례 증안펀드를 통해 V자 반등을 연출했던 경험이 있지만, 그때는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규모 재정 및 통화 완화정책을 병행했던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인플레이션 문제로 미국이 초긴축 정책을 추진하는 지금은 과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는 증안펀드 재가동을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전날 장 마감 직후 금융감독원과 함께 금융시장 합동점검회의를 열고 "증권시장안정펀드 재가동 등 금융시장 변동성 완화조치를 적기에 실행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금융위는 이미 재가동 관련, 증권유관기관 등 출자기관과 2~3차례 회의를 거쳐 재가동을 위한 실무협의에 착수한 상태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29일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보다 28.46포인트(1.31%) 상승한 2197.75에 출발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76포인트(1.89%) 오른 686.63에 시작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5.4원 내린 1424.5원에 장을 열었다.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2022.09.29 mironj19@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증안펀드는 주요 기관이 조성한 자금을 주식시장에 투입해 주가 급락을 방어하는 조처다. 증안펀드는 지난 1990년 이후 총 4번 조성됐고, 이중 3번 투입됐다.

가장 최근에는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코스피지수가 1400포인트 수준까지 급락했을때 정부가 시장 안정을 위해 긴급하게 도입을 추진했었다. 산업은행, 5대 금융지주 등 23개 금융기관과 증권유관기관이 출자해 총 10조7600억원 규모로 자금을 조성했지만, 4월 들어 증시가 반등하면서 실제 투입되진 않았다. 그 이전에는 ▲1990년5월 버블 붕괴(4조8500억원) ▲2003년1월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4000억원) ▲2008년11월 글로벌 금융위기 때(5150억원) 등 3번 증안펀드를 시장에 투입해 V자 반등을 연출했던 경험이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증안펀드에 대해 실효성이 높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한다. 우선 증안펀드 규모가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증안펀드 규모는 지난 2020년 3월을 기준으로 볼때 조성된 금액이 총 10조7600억원 규모였다. 전날 기준 코스피 시장의 시가총액은 1700조원대로, 전체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의 1%에도 못 미치는 규모다.

증안펀드를 재가동해도 주식시장의 불안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과거 3차례 도입 당시에는 정부와 중앙은행이 재정 및 통화정책을 병행했던 반면 미국이 초긴축 정책을 언제까지 지속할 지 알 수 없고,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발표될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자료=현대차증권] 2022.09.29 yunyun@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과거 4건의 증안펀드 출범 당시 주식시장도 V자 반등을 연출했던 경험이 있었지만 당시 반등의 동력은 증안펀드 뿐만 아니라 정부와 중앙은행의 대규모 재정 및 통화 완화정책이 영향이 컸다"면서 "현재는 고 인플레이션 문제로 인해 정부, 중앙은행이 부양책을 쓰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증안펀드 가동으로 V자 반등이 재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우려했다.

지수 하단을 지지할 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 연구원은 "기술적 및 밸류에이션 지표상 역사적 하단에 근접해있는 상황 속에서 새로운 수급이 유입되는 것이므로 최소한 지수 하단을 지지 혹은 하락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매도 전면 금지 정책 병행 필요성은 지속 제기되고 있다.

김중원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최근 1개월 공매도 금액은 6220억7000만원으로 공매도 금지 결정을 내렸던 지난 2020년3월 기준 직전 1년 일평균 공매도 금액 4649억400만원과 비교해 33.8% 증가했다"면서 "현재 시장 전체 시가총액이 2020년초 대비 22.0% 증가한 점을 반영해도 최근 1개월 공매도 규모는 과거 대비 증가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yunyu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