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코로나19' 6차 대유행

슬슬 다가오는 코로나19 겨울 재유행…"여름보다 규모 작을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확진자 감소세 정체…"이르면 다음 달부터 재유행 본격화"

변이와 면역도가 재유행 크기 좌우…"60세 이상 접종 중요"

연합뉴스

코로나19 선별진료소 방문한 시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사그라지는 듯했던 코로나19 유행이 슬금슬금 다시 고개를 들어 올리는 모양새다.

지난 7월 초 시작한 코로나19 여름 재유행(6차 유행) 감소세가 다소 정체된 가운데 단기적으로는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정부와 전문가들에 따르면, 아직 증가세 전환 여부를 판단하기는 이르지만, 조만간 확진자가 다시 늘어 이르면 다음 달부터 겨울 재유행(7차 유행)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겨울 재유행의 규모 등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려우나 여름 재유행보다는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감소세 주춤하고 확진자 증가 경향…겨울 재유행 징조?

여름 재유행은 8월 중순 정점을 찍고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계절이 바뀐 최근 며칠 동안은 신규 확진자수가 전주 같은 요일 대비 오히려 증가하는 등 감소 폭이 정체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글날 연휴(8∼10일) 영향이 미치기는 했으나 지난 18일에는 신규 확진자 수(3만3천223명)가 1주 전인 11일(1만5천466명)의 2배로 뛰는 '더블링' 현상이 3개월 만에 다시 나타나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16∼20일 감염재생산지수가 1.09로 9주 만에 1 이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감염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수치화한 지표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 나타난 몇 가지 지표로 유행이 다시 증가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박향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1일 브리핑에서 최근 확진자 추이에 대해 "반등세라기보다는 감소 추세가 주춤한 상태"라며 증가세 전환 여부를 판단하려면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엄중식 가천대 의대 교수는 "실제 감염자가 증가한 것일 수도 있지만, 독감 등 다른 호흡기 질환 유행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면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는 사람들이 많아졌을 수도 있다"며 "1∼2주 후 위중증 환자 증가 여부를 보면 실제 감염자가 증가했는지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선별진료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 12월∼3월에서 11∼12월로…앞당겨진 겨울 재유행 예상 시점

전문가들의 겨울 재유행 예상 시점은 점점 앞당겨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이달 초 겨울 재유행 시기를 12월∼내년 3월로 예상한 바 있다.

하지만 정기석 코로나19특별대응단장 겸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지난 17일 국내 겨울 재유행이 12월 초에 본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후 정재훈 가천대 의대 교수는 지난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다음 달(11월)부터 본격적으로 재유행이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재유행 시기에는 국민 면역도와 새 변이 출현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정기석 위원장은 백신 접종에 따른 면역력과 감염에 의한 면역력이 12월께 전체적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정재훈 교수는 "아직 특별한 변이의 증가가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11월 초~중순이 되면 한 변이종이 급격히 치고 올라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세종 등장 후 4∼6주 정도가 지나면 유행이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 "겨울 재유행 정점 18만명대 밑에서 형성될 것"

재유행 시기를 특정하기 어려운 만큼, 재유행 규모 역시 현재로서는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전문가들은 겨울 재유행이 올여름 재유행보다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엄 교수는 "재유행을 주도하는 새 변이의 특성이 재유행의 속도와 폭을 정할 것"이라며 "그 변이가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라면 면역 회피성이 아무리 뛰어나도 (여름 재유행을 주도한) BA.5 이상으로 확산할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여름 재유행이 하루 최고 18만명대 확진자 수준에서 정점을 찍은 것을 고려하면, 겨울 재유행은 그보다 낮은 수준에서 정점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또 오미크론 변이에도 대응하는 2가 백신 접종이 꾸준히 이뤄지고, 전체 인구 중 확진 이력자의 비중이 증가하면 겨울 재유행의 폭은 앞선 유행들보다 작을 것이라고 엄 교수는 예상했다.

정 교수도 현재 겨울 재유행의 규모와 크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지난번보다 (유행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

개량 백신 접종
[연합뉴스 자료사진]


◇ 60세 이상 확진자 비중 증가…"접종률 높여야"

백신 접종은 특히 고령층 등 건강취약계층에게 강조되고 있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대부분 60세 이상 고위험군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 위원장은 백신을 통한 면역력이 4개월, 자연 감염을 통한 면역력이 6개월 유지된다고 봤을 때, 8월 전에 마지막 접종을 했거나 6월 전에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은 12월 초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다며 "특히 고령층, 감염취약계층은 반드시 백신접종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근 국내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령층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도 유념해야 한다.

확진자 중 60세 이상 비율은 9월 셋째 주 24.5%, 넷째 주 24.6%, 10월 첫째 주 25.5%, 둘째 주 25.4%로 증가했다.

최근 일주일(16∼22일)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25.9%로 더 증가했다.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지난 16일에는 28.1%, 22일에는 27.4%에 이르기도 했다.

엄 교수는 "최근 코로나19는 어린 연령층부터 유행해서 20∼30대, 40∼50대, 60대 이상으로 유행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며 "현재 고령층 확진자 비중이 증가한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일 수도 있지만, 고령 확진자 증가는 위중증·사망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유념해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abbi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