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유대 강화하는 중국·미얀마…해상 신항로 개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광시성·미얀마 양곤 연결…매주 화물선 4척 운항

연합뉴스

미얀마 양곤행 중국 화물선
[이라와디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밀착 행보를 이어온 중국과 미얀마가 이번에는 양국을 잇는 해상 신항로를 개설했다.

3일 미얀마 매체 이라와디에 따르면 중국 광시성 베이부만 항구에서 남중국해를 거쳐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으로 연결되는 신항로가 개통됐다고 주미얀마 중국대사관이 밝혔다.

중국 대사관은 이 항로에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이 추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RCEP는 중국 주도로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10개국 등 15개국이 참여한 세계 최대 규모 자유무역협정(FTA)이다.

대사관은 새 항로를 통해 매주 화물선 4척이 운항할 예정이라며, 중국에서 출발한 선박은 양곤에 도착하기 전에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기항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에서 미얀마까지 12일이 걸리는 새 항로 개설로 기업의 물류 및 보관 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이라고 중국 선사 SITC는 설명했다.

지난해 2월 군부 쿠데타 이후 서방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제재 움직임 속에서도 중국은 러시아와 함께 미얀마 군사정권의 '뒷배' 역할을 해왔다.

중국은 쿠데타 이전에는 아웅산 수치 고문이 이끌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정권과도 협력했지만, 쿠데타 이후에는 군정과 손을 잡고 있다.

어떤 세력이 통치하든 협력 관계를 맺고 자국 이익을 위해 요충지인 미얀마에 투자를 지속하는 셈이다.

미얀마와 2천200㎞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은 쿠데타 이전부터 미얀마 인프라 시설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왔다.

지난달에는 미얀마 라카인주의 특별경제구역(SEZ)에 중국 국영기업인 파워차이나와 미얀마 슈프림그룹이 합작한 35㎿ 규모의 가스화력발전소가 준공됐다.

중국은 서부 라카인주에서 북부 카친주에 이르기까지 미얀마 내 최소 7개 지역에서 발전소 건설 사업을 진행 중이다.

중국은 윈난(雲南)성 쿤밍(昆明)과 미얀마 차우크퓨항을 연결하는 송유관을 건설하는 등 기존 해상 운송로를 보완할 원유 조달 경로 개발에 나섰고, 중국 서부와 인도양 사이의 육상 운송로도 연결했다.

doubl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