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덕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들에게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성분이 발견됐다.
9일 기초과학연구원(IBS) 생명과학연구클러스터 이창준 소장 연구팀은 더덕에 함유된 ‘란세마사이드 A’ 사포닌과 벌개미취에 함유된 ‘아스터사포닌 I’가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내 침입경로인 세포막 융합을 막아 감염을 억제한다고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외피막과 인체세포 세포막 사이의 ‘막 융합’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친다. 연구팀은 더덕 등에서 발견된 물질이 이 융합을 막아 코로나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경로를 모두 차단하는 것을 밝혀냈다. 초기 코로나바이러스 뿐 아니라 오미크론 등 변이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감염이 억제됐다.
란세마사이드 A와 아스터사포닌 I는 세포막의 주요 구성물질인 콜레스테롤과 매우 유사한 구조에 한쪽으로 길게 당이 붙어 있다. 세포막이 이들의 중앙부를 세포막 안으로 받아들이고 길게 붙어 있는 당 부위가 세포막 밖으로 돌출되는데, 이 부위가 코로나바이러스와 인체세포의 막 융합을 가로막는다.
연구팀은 앞서 한국파스퇴르연구소 김승택 박사 연구팀과 함께 도라지 사포닌인 ‘플라티코딘 D’의 항코로나 활성을 규명하기도 했다.
이 소장은 “더덕이나 벌개미취, 도라지를 섭취할 경우 상기도 상피세포가 이들이 갖고 있는 성분에 고농도로 노출된다. 무증상환자나 초기 환자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세포실험 단계의 연구 결과지만 동물실험에서 좋은 결과가 나온다면 임상 시험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김태영 IBS 선임연구위원은 “막융합을 저해해 코로나바이러스 등 외피막 바이러스의 감염을 범용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며 “향후 범용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