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尹-바이든-기시다 회담, 북핵·안보협력 의제…G20 미중 정상회담 여부도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 11~16일 아세안·G20 정상회의 참석

“한미일 정상회담 확정”…한미도 조율중

“북한 핵·미사일 대응책 논의” 삼각공조

헤럴드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11∼16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아세안)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만나 북한 도발에 대한 ‘삼각공조’ 강화에 나선다.

한미일 정상이 마주 앉는 것은 지난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나토) 정상회의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지속되고 제7차 핵실험이 임박한 가운데 대북 억지력 강화 등 안보협력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은 10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먼저 한미일 정상회담은 확정이 됐고, 몇 가지 양자회담도 확정이 됐거나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 백악관 역시 같은 시간 한미일 정상이 아세안 정상회의 계기로 오는 13일 행사가 열리는 캄보디아에서 따로 회동한다고 발표했다.

한미일 정상회담의 최우선 의제는 한반도 안보 상황과 대북 공조 대응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들(한미일 정상)은 북한의 불법적인 대량 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올해 들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한 다수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연쇄 도발을 감행, 핵실험 카드만 남겨둔 상태다. 최근에는 한미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을 겨냥해 도발 수위를 한층 높이고 있다.

그간 한미일 3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지난 9~10월 동해 공해상에서 합동 훈련을 실시하는가 하면, 탄도미사일 도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외교차관, 북핵수석대표 등이 유선협의를 통해 대응방안을 모색해왔다.

특히, 만약 정상회의 기간 도중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윤 대통령은 현지에서 바이든 대통령, 기시다 총리와 함께 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미국, 일본, 심지어 중국 정상까지도 참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현지에서 대응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고, 여기(국내) 국가안보회의(NSC) 차원에서 화상연결, 기타 통신수단을 이용해 대응할 것”이라며 “한미일 정상이 현지에서 대응하는 것은 나름의 충분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역시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물밑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중간 선거가 끝난 시점인 만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등에 대한 논의에 진전이 있을지 여부가 관심거리다. 한일 정상회담의 경우 일본 언론에서는 개최 가능성을 유력하게 보고있으나, 대통령실은 “아직 결정된 것 없다”는 입장이다.

한중 정상회담은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주석이 자연스럽게 G20 회의장에서 만나 소통할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3연임을 확정 지은 시진핑 중국 주석은 15~16일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12일에 열리는 아세안+3국(한중일) 정상회담에는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외에 리커창 중국 총리가 참석한다.

윤 대통령은 “이런 다자회의에서 중요한 양자회담들이 여러 가지가 있다”며 “다자회의 양자회담은 미리 확정도 있고 갑자기 만들어지거나 검토되다 사정상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G20 정상회의에서는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미중 정상회담을 가질 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간담회를 갖고 G20 회의에서 시 주석과 만나면 “대만을 논의할 것으로 확신하며 공정 무역, 중국과 역내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포함한 여러 이슈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중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우리 정부로선 대미, 대중 외교 노선 설정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yuni@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