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이슈 일본 신임 총리 기시다 후미오

3년만에 45분 회담···尹·기시다 "현안, 조속한 해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일 정상, 프놈펜서 정식회담

현안 조속 해결 위해 지속 협의키로

北도발 맞서 한일 안보 협력도 강화

尹정부 들어 한일관계 회복세 뚜렷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3일(이하 현지 시간) 캄보디아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과거사 갈등 해법 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한일 정상은 2019년 12월 이후 약 3년 만에 열린 이번 정상회담에서 양국 사이의 최대 뇌관인 강제징용 피해 배상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북한의 무력 도발과 관련한 양국의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프놈펜의 한 호텔에서 기시다 총리와 45분 동안 회담했다. 이는 애초 예상됐던 30분을 훌쩍 넘긴 것이다. 양국 정상은 올 9월 미국 뉴욕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처음 대좌한 뒤 2개월 만에 다시 마주 앉았다.

기시다 총리는 회담에 앞서 ‘이태원 압사 참사’ 유가족과 한국 국민에 대한 애도를 표명했으며 윤 대통령은 2명의 일본인 희생자에 대해 조의를 표했다.

한일 정상은 양국 현안과 관련해 외교 당국 간 활발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음을 평가하고 조속한 해결을 위해 계속 협의해나가는 한편 앞으로도 정상 간 소통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양국 정상은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서는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하고 중대한 도발 행위로 보고 강력히 규탄했다. 또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응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응과 한미일 안보 협력 강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앞서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한일정상회담을 전격 확정한 배경에 대해 높아지는 북한의 도발 수위를 언급하고 “양 정상 모두 한일 간에 긴밀한 소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거사 갈등으로 얼어붙었던 양국 관계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눈에 띄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가 약 두 달 만에 재차 회담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양국 정상은 9월 21일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기간 30분간 회담하고 양국 관계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한 바 있다. 양 정상은 이를 위해 외교 당국 간 대화를 가속화할 것을 지시했는데 실제로 정상회담 이후 한일 외교국장급부터 북핵수석대표, 외교차관 및 장관까지 각급 사이의 대면 및 유선 소통이 활발히 이뤄졌다.

한일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을 막판까지 비밀리에 추진하는 등 상호 소통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통령실이 이번 한일정상회담 일정을 개최를 약 24시간 남기고 언론에 공지했을 정도다. 양국 사이에 최대 민감한 현안인 강제징용 문제가 아직 풀리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윤석열 정부는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피고 기업들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한국 대법원의 판결과 관련해 국내법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찾는 동시에 일본 외교 당국을 상대로 성의 있는 호응을 촉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일정상회담이 서울이나 도쿄가 아닌 동남아 지역에서 열린 점도 눈길을 끈다. 이달 동아시아정상회의(EAS)부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연이어 열리는 아세안 지역은 미중 패권이 정면으로 부딪치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한가운데 지점이다. 미국과 중국은 각각 인도태평양 전략, 일대일로 정책을 통해 이 지역의 패권을 점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일은 각각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아세안 지역의 안보가 위협받을 경우 최전선에 뛰어들어야 하는 국가로 공동의 가치와 이익을 공유한다. 한일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도 포용적이고 복원력 있으며 안전한,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추구하기 위해 연대해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경은 기자 euny@sedaily.com프놈펜=김남균 기자 south@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