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국방과 무기

국방부 "한미일 북 미사일 정보 공유…3국에 유리한 방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방부는 한미일 3국 정상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앞으로 3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방부 문홍식 부대변인은 오늘(14일) 정례브리핑에서 "3국이 협력하게 되면 조금 더 정확한 북한 미사일 정보 공유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어느 일방이 유리한 쪽으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3국 모두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가 한미일 정보공유약정(TISA·티사),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등 기존 체계가 있는데 일본에 유리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습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전날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자 한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지리상 북한과 가까운 한국에서 북한 미사일 초기 정보를 제대로 탐지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정보를 일본에 주는 반면 일본 측으로부터는 받을 만한 것은 많지 않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지구 곡률에 따른 레이더 탐지 가능 범위를 고려하면 북한 미사일 발사 원점·방향, 단거리 미사일의 궤적 등은 한국에서 더 정확하게 볼 수 있으나 태평양으로 향하는 중거리 이상급은 일본에서 정밀하게 탐지할 확률이 높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실제 지난달 4일 북한이 쏜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은 한국 이지스함과 탄도탄레이더 탐지 범위를 지나 일본 열도를 넘어갔는데 비행거리와 고도를 우리 군은 4천500여㎞·970여㎞로 파악했고 일본은 4천600㎞·1천㎞로 포착해 차이를 보였습니다.

더욱이 티사는 한일이 미국을 경유해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고 지소미아는 요청이 있을 때 정보를 주고받는 식이어서 모두 실시간 공유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문홍식 부대변인은 "지소미아 등은 실시간 정보공유를 하는 체계가 아니다"라며 "우리가 초기 정보에서 우위가 있지만, 다른 쪽에서는 일본의 장점도 있다. 발사 원점이나 방향에 따라 정보의 가치가 상이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미사일에 대한 경보 정보의 실시간 공유가 결국 미국이 주도하는 미사일방어(MD) 체제로의 편입 아니냐는 시선에도 국방부는 선을 그었습니다.

문 부대변인은 "단편적인 부분을 가지고 MD 통합을 얘기하는 것은 부적절하고, 그것을 의미하지도 않는다"며 "MD를 얘기하려면 미사일 개발부터 전력화까지 같은 수준으로 이뤄져야 하기에 (MD 편입 우려는) 확대 해석"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배준우 기자(gat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