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G20 정상들 공동선언 채택…"러시아 우크라 침공 강력 규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쟁(war)' 단어 거부감 러시아 반대에도 채택

우크라 침공 강력 규탄·세계 경제 취약성 악화 우려

아시아경제

G20 정상회의. 사진 AP=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희윤 기자]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주요 20개국(G20) 회담이 이틀간 정상회의를 마무리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규탄하고 전쟁 종식을 촉구하는 공동 선언을 채택했다.

16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G20 정상들은 선언문에서 "대부분 회원국은 가장 강력한 표현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을 강력히 규탄한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상황에 대해 다른 견해와 다른 평가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서방 동맹국을 중심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난하는 공동선언은 지속해서 추진됐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올해 G20 공동선언 채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주최국인 인도네시아와 인도가 물밑에서 노력하면서 공동 선언 채택이 가능해졌다.

의장인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전 세계가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세계 경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결과를 제공해야 한다"며 정상들을 향해 공동선언 채택을 압박했다.

그 결과 '대부분 회원국'이라는 제한적 표현이 들어가는 절충안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을 규탄하는 공동 선언이 나올 수 있었다.

선언에는 당초 러시아가 원했던 '특별군사작전'이란 표현 대신 '전쟁'이란 단어가 들어갔다. 또한, "핵무기 사용이나 위협은 용납할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는 최근 러시아의 핵 위협과 더불어 북한의 계속되는 핵실험 가능성에 경고 차원에서 반영된 문구로 풀이된다.

또한, 식량 위기 관련 세계 식량 안보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식량 수출을 허용하는 흑해 곡물 협정의 연장을 지지한다는 내용도 공동선언에 담겼다.

세계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우크라이나 전쟁부터 물가 급등에 이르기까지 세계 경제가 전대미문의 다차원적 위기에 직면했고, 이로 인해 많은 중앙은행이 통화 긴축 정책을 펼칠 수밖에 없다고 G20 정상들은 설명했다.

미국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경우 신흥국은 막대한 자본유출을 우려하게 되기 때문에,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서 부정적인 파급효과(스필오버)의 제한 필요성 또한 염두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에 "서방이 '많은 대표단이 러시아를 비난했다'는 문구를 추가했지만 우리는 대안적인 견해도 제시된 점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라브로프 장관은 공동선언문이 발표되기 전 인도네시아를 먼저 떠났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