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9 (수)

이슈 국방과 무기

美 “北, 미사일 등 자금 30% 사이버 공격으로 충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의 앤 뉴버거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암호화폐 사이버 공격 등의 해킹을 통해 도발 자금의 30%가량을 충당한다는 미국 정부 평가가 나왔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 담당 부보좌관은 17일(현지시간) 외신기자센터 브리핑에서 “암호화폐 인프라에 대한 북한의 해킹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은 막대한 자금을 창출한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우리는 북한이 그들 미사일 및 다른 악의적인 프로그램의 자금 중 30%가량을 사이버 공격으로 충당한다고 본다”라며 “악성 사이버 활동은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특히 북한 연계 행위자들의 위협과 관련한 정보 협력 강화는 물론, 암호화폐 인프라 내 불법 자금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관련 사례로는 자국 정부의 가상화폐 믹서 기업 ‘토네이도 캐시’ 제재를 들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토네이도 캐시가 “최대 6억 달러(약 8112억 원)에 달하는 북한의 불법 자금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의) 활동을 찾아내기 위한 정보 협력과 자금 이동을 가능케 하는 암호화폐 인프라 요소에 대한 제재, 그리고 북한이 노리는 은행과 암호화폐 인프라 회복력 증진 노력 등 계속해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이날 한국을 두고는 자국의 ’랜섬웨어 대응 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국가라며 “한국은 사이버 안보 분야와 스마트시티 등 더 넓은 기술 분야에서 진정한 리더”라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알레한드로 마요르카스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도 15일 하원 국토안보위원회에 제출한 서면 자료에서 북한이 지난 2년여 동안 10억 달러(약 1조 3000억 원)가 넘는 암호화폐 등을 강탈해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자금으로 썼다고 밝힌 바 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