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이슈 취업과 일자리

영업적자인데 직원수 늘리는 공기업…"공공일자리 확대 여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경련, 최근 5년간 공기업 35곳 재무·고용지표 추이 분석

연합뉴스

회사원 (CG)
※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는 자료사진입니다.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최근 5년간 우리나라 공기업들의 수익성은 곤두박질쳤지만, 직원 수는 매년 늘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공공기관경영정보공개시스템(알리오)을 통해 2017∼2022년 공공기관 지정 공기업 35개사(한국광해광업공단은 2021년 이전 자료 부재로 제외)의 재무와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연합뉴스

공기업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율과 직원 수
[전경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경련에 따르면 우리나라 공기업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상반기 기준 2017년 8.4%, 2018년 5.2%, 2019년 3.6%로 지속해서 감소하다 2020년 4.6%로 반등했다. 하지만 2021년 4.0%로 다시 감소했고, 올해에는 -11.6%로 급락했다. 공기업들이 올해 상반기 벌어들인 돈의 12%가량을 까먹었다는 얘기다.

공기업들의 수익성은 이같이 악화했지만, 직원 규모는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3분기 13만3천명이었던 공기업 직원 수는 매년 1천∼8천명씩 늘다 올해 3분기에는 15만명을 기록했다. 지난 5년간 공기업 1곳당 평균 483명이 증가한 것이다.

연합뉴스

공기업 무기계약직 신규채용 인원, 일반 정규직 신규채용 인원
[전경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경련은 문재인 정부 시절 시행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공공일자리 확대 정책이 공기업 직원 수 증가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인력을 포함한 무기계약직 채용 규모는 2017년 77명에 불과했지만 문재인 정부 2년 차인 2018년 1천362명까지 늘었다. 이후 증감을 반복하긴 했지만 5년간(2018∼2022년 3분기) 총 3천892명이 공기업 무기계약직으로 채용됐다. 공기업 1곳당 111명꼴이다.

같은 기간 일반 정규직 신규 채용인원은 총 3만6천820명을 기록했다. 5년간 1곳당 평균 1천52명의 일반 정규직이 채용된 것이다.

이러한 직원 증가는 공기업의 재무 건전성 악화에도 인건비와 복리후생비 증가로 이어졌다.

조사대상인 공기업 35개사의 부채는 2017년 상반기 411조9천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539조9천억원으로, 128조원이 늘었다. 자본 대비 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161.8%에서 196.1%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인건비와 복리후생비는 2017년 10조5천억원에서 2021년 12조3천억원으로 17.5% 증가했다. 이는 총수입 증가율(9.7%)의 1.8배 수준이라고 전경련은 전했다.

김용춘 전경련 고용정책팀장은 "공기업들이 천문학적인 적자를 보고 있지만,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으로 직원 수는 늘었다"며 "적자에 인건비까지 늘어나면 청년들을 위한 신규 취업 자리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공기업 재정지표 추이
[전경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그래픽] 공기업 수익성 및 직원 수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viv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