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이슈 '오미크론' 변이 확산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서아프리카 발원’ 주장 나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아공 연구진, 아프리카 22개국 코로나19 감염 샘플 1만3097개 연구

“베냉·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채취 샘플, 오미크론의 조상임을 입증”

‘남아프리카서 HIV로 면역력 약화된 신체에 잠복 후 출현’ 이론 반박

세계일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처음에 아프리카 대륙 남부에서 발견됐지만, 사실은 서아프리카에서 발원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오미크론 변이가 남아프리카에 만연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의해 면역력이 약해진 신체에 오래 잠복해 있다가 출현했다는 이론을 반박하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2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텔렌보스대 등의 연구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블룸버그는 이번 연구는 아프리카 22개국의 코로나19 감염 샘플 1만3097개를 대상으로 했으며 오미크론 초기 바이러스 BA.1 계열이 대륙 서부에서 처음 출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서아프리카는 코로나19 검사를 잘 안 하고 유전자 시퀀싱(염기서열 분석)은 더욱 드물게 행해진다.

BA.1은 오미크론의 첫 번째 하위 변이로, 이후 지속적으로 돌연변이를 겪어왔다.

연구진은 “계통지도형 분석은 BA.1이 남아프리카에서 확산하기 전에 서아프리카에서 유래했다는 점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지난해 8월22일부터 10월27일까지 베냉에서 채취한 샘플은 나이지리아 샘플 3개처럼 오미크론의 조상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베냉과 나이지리아는 모두 서아프리카 국가이다.

서아프리카는 허약한 국가 보건 시스템 때문에 감염이 증가해도 대체로 검출이 안 된다.

가나대의 감염병원균 세포생물학 서아프리카 센터는 서아프리카의 코로나19 감염자 및 사망자가 상대적으로 적지만 대부분의 서아프리카인이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한다.

당초 오미크론은 지난해 11월 보츠와나와 남아공에서 처음 검출된 후 특히 남아공에서 기하급수적으로 확산한 데 이어 전 세계 각국에서 비슷한 패턴으로 출현했다.

이번 연구는 오미크론이 남아프리카에 만연한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의해 면역력이 약해진 신체에 오래 잠복해있다가 출현했다는 이론을 반박했다.

보고서는 “오미크론 조상들과 공공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오미크론 변이의 돌연변이 패턴은 감염력이 약해진 개인 안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돌연변이 형태를 일으키는 것과 상당히 달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1일 발표됐다.

당초 오미크론이 남아프리카에서 먼저 보고되자 역내 국가들을 대상으로 전 세계적인 여행 제한 조치가 발동돼 경제적 타격을 줬다. 남아공은 대규모 HIV와 결핵 전염병에 직면해왔기 때문에 유전자 시퀀싱에서 세계적으로 앞서 있는 편이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