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전세계 코로나 상황

'위드 코로나'로 가는 중국…폐쇄 3년 북중 변경 언제 풀리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변경 경제난 中·물자난 北, 개방 필요성…北 취약한 방역이 걸림돌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중국이 실질적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면서 3년간 폐쇄된 북한과 중국 변경 개통과 육로 교역 재개 시점에 관심이 쏠린다.

연합뉴스

지난 9월 단둥에서 북한으로 가는 북중 화물열차
[촬영 박종국]


중국 국무원이 3년간 고수해온 '제로 코로나' 핵심 시책을 대거 철회한 방역 완화 10개 조치를 발표하자 중국 단둥과 훈춘, 투먼 등 북한 접경 지역 주민들은 북중 변경 개방과 육로 무역 개방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지역 경제에서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북중 교역이 3년째 중단되면서 이 지역 경제가 심대한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중국 세관 당국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까지 북중 누적 교역액은 7억6천126만달러(약 1조39억원)로, 코로나19가 번지기 전인 2019년 동기의 22억4천374만달러(약 3조원)에 비해 66% 감소했다.

그나마 올해는 북중 교역의 70%를 차지하는 단둥∼신의주 간 화물열차 운행이 재개되면서 사정이 나아졌다.

작년 한 해 북중 교역액은 3억1천804달러(약 4천202억원)에 그쳐, 2019년보다 무려 89%가 감소했다.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번지자 북한이 2020년 1월 국경을 폐쇄하고, 그해 8월에는 화물열차 운행까지 중단하면서 북중 교역이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이 여파로 단둥에서 활동하던 중국 무역상들이 해상 교역 거점인 산둥 룽커우 등으로 떠났고, 수천 명에 달하던 북한 무역상들이 자취를 감췄다.

북한 관광이 끊기면서 100여 개에 달했던 단둥 여행사들도 줄줄이 문을 닫았다.

도로 화물 운송이 3년째 막혀 있는 훈춘과 투먼 등지의 경제 사정도 단둥과 다를 바 없는 상황이다.

중국의 방역 완화에 따라 중국의 변경 지역 입장에서는 북중 변경 개방과 육로 교역 재개를 위한 조건이 갖춰진 셈이다.

심각한 물자 부족에 시달리는 북한도 마냥 변경을 봉쇄 상태로 유지할 수만은 없는 형편이다.

코로나19가 확산하자 지난 4월 멈췄다 5개월 만인 지난 9월 재개한 단둥∼북한 신의주 간 화물열차 운행도 북한이 먼저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북한 내 코로나19가 진정되자 수 차례 운행 재개를 요청했다는 것이다.

지난달 초 단둥이 도심을 방역 봉쇄했을 때도 화물열차는 정상 운행됐다.

연합뉴스

대동강호 식당 소독하는 북한 종업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는 3년간의 변경 봉쇄로 누적된 물자난 해소가 시급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은 지난달 초 두만강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운행하는 북한-러시아 화물열차 운행도 재개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중단한 지 2년 8개월 만이다.

이런 점으로 미뤄 북중 양측의 경제적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기 때문에 머지않아 변경 개방과 육로 무역이 재개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014년 완공하고도 8년째 개통되지 않은 단둥∼신의주 간 신압록강대교 개통 임박설도 꾸준히 흘러나오고 있다.

다만 중국의 방역 완화 조치가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뤄진 점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중국에서 여전히 하루 2만명대 신규 감염자가 나오는 상황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북한으로서는 문호 개방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북한 국가비상방역사령부는 지난달 27일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을 주시하며 철저한 방역을 주문한 바 있다.

단둥의 한 대북 무역상은 "중국의 방역 완화 조치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방역이 취약한 북한이 변경을 개방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중국 내 코로나19가 의미 있게 진정된 이후에나 변경 개방과 육로 무역 정상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pj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