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한은 "올해 취업자 증가폭 절반 리오프닝 효과…고용질 낮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82만명 중 42만명 차지…내년 경기둔화가 취업자 12만명 감소 요인"

연합뉴스

취업자는 늘었지만...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올해 취업자수 증가 규모의 절반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해제 이후 경제 리오프닝 효과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내년에는 이런 리오프닝 효과가 사라지고 경기 둔화가 일자리 감소 요인이 되면서 고용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은 9일 경제전망 보고서의 '고용상황 및 임금흐름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한은은 경제전망에서 우리 경제 취업자수 증가(전년 대비) 규모가 올해 82만명, 내년 9만명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올해 및 내년 취업자수 증가 규모를 요인별로 분해했다.

그 결과 올해 취업자수 증가 규모에서 20만명은 경기적 요인, 20만4천명은 인구 증가 등 구조적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절반이 넘는 41만8천명은 팬데믹 이후 경제 리오프닝 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연합뉴스

리오프닝 효과는 올해 중 경제활동참가율이 장기 추세와 얼마나 괴리됐는지를 토대로 계산했다.

그동안 영업시간이 제한되거나 문을 닫았던 음식점과 각종 서비스업의 영업이 확대되면서 일자리 증가에 기여했다는 설명이다.

올해 취업자수 증가 폭은 커졌지만 주로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과 직업 위주인 만큼 고용의 질은 좋지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도소매업, 개인서비스업 등 대면서비스업에서는 사업부진과 조업중단 등 비자발적 요인으로 인해 근로시간이 부족한 근로자들의 비중이 10월 4.6%로 팬데믹 이전인 2020년 1월(3.6%)을 여전히 상회했다.

한은은 내년에는 리오프닝 효과가 사라지는 데다 경기 둔화 영황이 본격화하면서 취업자수 증가 폭이 9만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인구 증가 등 구조적 요인이 취업자수 20만1천명 증가로 이어지지만 경기 둔화는 오히려 11만6천명 감소를 불러올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고용률은 올해 62.1%에서 내년 62%로 소폭 하락하는 반면, 실업률은 올해 3.0%에서 내년 3.4%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구체적으로 실업률은 내년 상반기 3.6%로 올라갔다가 하반기 3.2%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은은 "경제활동참가율은 올해 64%에서 내년 64.2%로 소폭 상승하겠지만, 경기 둔화 영향으로 내년 고용률은 하락하고 실업률은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pdhis959@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